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아폴리나리스(7.20)

아폴리나리스(7.20)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아폴리나리스 (Apollinaris)
축일 7월 20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베드로의 제자,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라벤나(Ravenna)
활동연도 +1/2세기경
같은이름 아뽈리나레, 아뽈리나리스, 아폴리나레
성인 기본정보

   성 아폴리나리스의 이름은 이탈리아 북동부 라벤나 근교에 있는 산타폴리나레 인 클라세 대성당(Basilica di Sant’Apollinare in Classe)의 묘비명 때문에 잘 알려져 있는데, 그에 따르면 그는 초대교회의 순교자 중 한 사람이었던 같다. 그러나 그가 언제 순교했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고, 단지 1세기경으로 추정할 뿐이다. 그에 대해 언급한 최초의 문헌은 라벤나의 주교였던 성 베드로 크리솔로고(Petrus Chrysologus, 7월 30일)의 “설교집” 128장이고, 그와 관련된 전설과 행전은 7세기에 기록되었다. 그에 따르면 성 아폴리나리스는 안티오키아(Antiochia, 오늘날 튀르키예 남부의 안타키아[Antakya])에서 태어난 듯하다. 그가 언제 주교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행전에 따르면 사도 성 베드로(Petrus, 6월 29일)에 의해 로마(Roma)에서 라벤나의 초대 주교로 임명되어 약 26년 동안 주교직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여러 기적을 행하였고, 주교 직분에 충실했으며, 설교로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다고 한다. 또한 우상 숭배자들에게 엄격하여 그들을 도시 밖으로 추방하기도 했다고 한다. 박해 시기에는 박해자들로부터 혹독한 폭행을 당해 해안가에 버려져 거의 죽을 지경까지 갔다가 신자들에 의해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구한 뒤에 다시 체포되어 고난을 겪고 추방되었다. 하지만 그는 계속 라벤나 근교에 머물며 에밀리아 로마냐(Emilia-Romagna) 지역을 두루 다니며 복음을 전했고, 라벤나로 돌아갔다가 재차 체포되어 칼로 난도질을 당하고 상처에 뜨거운 물을 끼얹는 등의 고문을 받았다. 그는 혹독한 형벌을 받으면서도 설교를 멈추지 않았고, 결국 박해자들은 그의 입을 돌로 찍고 사슬로 묶어 토굴 속에 가두고는 먹을 것도 주지 않았다. 4일 후 그는 그리스로 호송되었으나 그곳에서도 계속 기적을 행하자 다시금 매를 맞고 라벤나로 이송되었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69~79년 재위)의 추방령으로 잠시 피신했던 그는 어느 날 성문을 지나다가 발각되어 이교도로부터 심한 매를 맞고 죽을 지경이 되었다. 겨우 신자들과 함께 라벤나 근교 마을인 클라세로 가서 7일 정도 머물다가 결국 숨을 거두어 순교의 월계관을 썼다.

   교황 성 심마코(Symmachus, 7월 19일)와 호노리오 1세(Honorius I)의 노력으로 성 아폴리나리스에 대한 공경이 로마에 널리 퍼졌고,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Clovis I) 왕은 디종(Dijon)에 그에게 봉헌된 성당을 건립하였다. 그 밖에도 여러 수도회를 통해 유럽 여러 지역으로도 그에 대한 공경이 퍼져나갔다. 6세기에 라벤나에 투르(Torus)의 성 마르티노(Martinus, 11월 11일)에게 봉헌해 건립되었던 성당은 9세기에 성 아폴리나리스의 이름을 따서 산타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Basilica di Sant’Apollinare Nuovo)으로 변경되었다. 그 당시 라벤나 해안에 해적들의 습격이 빈번해지자 해안가에 있는 산타폴리나레 인 클라세 대성당에 모셔진 초대 주교의 유해를 안전하게 모시기 위해 성벽 안에 있는 산 마르티노(San Martino) 성당으로 옮기고 나중에 그 이름을 산타폴리나레 누오보 대성당으로 변경한 것이다.

   또 다른 전승에 따르면 그는 실제로 2세기에 라벤나에 살았던 주교였다고 한다. 그가 사도 성베드로의 제자였다는 전통은 7세기에 기록된 행전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당시 라벤나라는 도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사도 시대와의 직접적 연결을 도모한 것이라 한다. 성 베드로 크리솔로고가 그의 설교에서 언급했듯이 성 아폴리나리스는 오래전부터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았다. 하지만 그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전해지지 않았다. 5세기에 “예로니모 순교록”(Martyrologium Hieronymianum)은 7월 23일 목록에 그의 이름을 올렸고, 옛 “로마 순교록”도 같은 날 목록에서 거룩한 주교인 성 아폴리나리스의 탄생일이라 하며, 그가 사도 성 베드로에 의해 로마에서 주교로 축성된 후 라벤나로 파견되어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위해 수많은 고난을 겪었고,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여 많은 사람을 우상 숭배에서 개종시켰다고 했다. 그리고 라벤나로 돌아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치하에서 영광스러운 순교를 통해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고백을 마무리했다고 전해주었다.

   1969년 전례력을 개정하면서 로마 보편 전례력에서 그의 기념일이 빠졌다가 2002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따른 로마 미사 경본(Missale Romanum) 제3 표준판에 다시 포함되면서 7월 20일로 기념일이 변경되었다. 7월 23일은 이미 1999년 10월 1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가 유럽의 여섯 수호성인 중 한 명으로 지명한 스웨덴(Sweden)의 성녀 비르지타(Birgitta) 수도자 기념일로 지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7월 23일 목록에서 라벤나 근처 클라세에서 성 아폴리나리스 주교를 기념하는데 7월 20일에 그의 축일을 지낸다고 했고, 7월 20일 목록에서 성 아폴리나리스 주교가 그리스도의 헤아릴 수 없는 풍요로움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선한 목자처럼 양 떼에 앞서 나아갔기에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의 라벤나 근처 클라세 성당에서 영광스러운 순교를 기념하는데, 그는 7월 23일 영원한 잔치에 들어갔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하) - '성 아폴리나리스 주교 순교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78-79쪽.
  •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 저, 변우찬 역, 황금 전설 : 성인들의 이야기 - '성 아폴리나리스', 서울(일파소), 2023년, 553-556쪽.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 '아폴리나리스, 라벤나의',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1년, 5752-5753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2 [아폴리나리스(7 ...] 교회의 빛나는 인물들: 성 아폴리나리스 주호식 2016/06/27 419 1
1 [아폴리나리스(7 ...] 성 아폴리나리스 주교 순교자 주호식 2012/07/13 415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