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피델리스(10.28)

피델리스(10.28)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피델리스 (Fidelis)
축일 10월 28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군인, 순교자
활동지역 코모(Como)
활동연도 +4세기경
같은이름 페델레
성인 기본정보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28일 목록에서 이탈리아 북부 코모에서 막시미아누스 황제(286~305년 재위)의 박해 때 성 피델리스가 순교했다고 전해주었다. 그의 생애나 순교에 대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에 관한 몇 가지 전승이 전해지고 있다. 첫 번째 전승에 따르면 그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Lombardia) 지방 밀라노(Milano)에 주둔하던 로마 제국의 군인이었다. 그는 다른 두 명의 그리스도인 군인인 성 카르포포로(Carpophorus)와 성 엑산토(Exanthus, 이상 8월 7일)와 함께 박해를 피해 군대를 탈출했다. 그들은 코모 호수에 도착해 배를 타고 호수를 건너갔다. 하지만 황제의 명으로 뒤따라온 군인들에게 붙잡혀 성 카르포포로와 성 엑사토가 먼저 그 자리에서 순교했고, 성 피델리스는 호수 북쪽 사몰라코(Samolaco)까지 끌려가 로마의 신들에게 희생 제물을 바치거나 처형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성 피델리스는 그리스도를 위해 죽기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고백하고 참수형을 당해 순교하였다.

   두 번째 전승에 따르면 그는 같은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밀라노에서 그리스도인 포로를 지키던 로마군의 장교였다. 그는 감옥에 갇힌 다섯 명의 그리스도인, 즉 성 카시오(Cassius), 성 세베리노(Severinus), 성 세쿤도(Secundus), 성 리치니오(Licinius, 이상 8월 7일)와 베르가모(Bergamo)의 성 알렉산데르(Alexander, 8월 26일)를 풀어주었다. 그리고 다른 두 명의 그리스도인 군인인 성 카르포포로와 성 엑산토와 함께 알프스를 넘어 안전한 곳으로 피하려고 했다. 하지만 코모 호수 북쪽 지역에서 체포되어 성 피델리스와 성 알렉산데르를 제외하고 모두 그곳에서 처형당해 순교하였다. 성 피델리스는 호수 건너편으로 끌려가 채찍질을 당한 후 참수형으로 순교했고, 성 알렉산데르도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다행히 탈출하여 베르가모로 가서 복음을 전하다가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그런데 또 다른 전승에서 성 피델리스는 여전히 이교도 지역으로 남아 있던 코모 호수 북쪽의 복음화를 위해 밀라노의 성 마테르노(Maternus, 7월 18일) 주교에 의해 파견된 선교사였다고 한다. 그는 그곳에서 이교도의 개종을 위해 노력하다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재위)의 박해 때 사몰라코에서 참수형을 당해 순교하였다. 하지만 성 마테르노는 교회가 신앙의 자유를 회복한 후인 316년경에 주교로 선출되었기에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 아무튼 성 피델리스의 무덤은 6세기 초에 코모에서 발견되었고, 그의 무덤에 많은 기적이 일어나면서 그에 대한 공경이 활발해졌다. 10세기에 그의 유해가 코모의 성 피델리스(San Fedele) 성당으로 옮겨졌고, 1572년에 밀라노의 성 가롤로 보로메오(Carolus Borromeo, 11월 4일) 추기경이 밀라노의 중심부에 건립한 성 피델리스 성당으로 장엄하게 옮겨 모셨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10월 28일 목록에서 코모 근처에서 성 피델리스의 순교가 있었다고 짧게 기록하였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