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베네딕토 비스콥(1.12)

베네딕토 비스콥(1.12)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베네딕토 비스콥 (Benedict Biscop)
축일 1월 12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활동연도 628?-690년경
같은이름 베네데토, 베네딕도, 베네딕또, 베네딕뚜스, 베네딕투스, 베네딕트, 베네트, 분도, 브누아, 비스코프
성인 기본정보

   성 베네딕투스 비스콥(Benedictus Biscop, 또는 베네딕토 비스콥)은 628년경 영국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비스콥 바두싱(Biscop Baducing)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궁정에서 교육을 받으며 성장해 국왕 오스위(Oswy)의 신하로 안정적이고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그는 25살 무렵인 653년에 수도승이 될 결심을 하고 모든 상속 재산을 포기하고 궁정을 떠났다. 그리고 사도들의 무덤을 방문하기 위해 요크(York)의 성 빌프리도(Wilfridus, 4월 24일)와 함께 첫 번째 로마(Roma) 순례의 길을 떠났다. 그런데 성 빌프리도가 프랑스 리옹(Lyon)에서 그곳 교구장 주교에 의해 발이 묶이자 성 베네딕토 비스콥은 홀로 순례의 여정을 이어가야 했다. 로마에 도착해 그 도시가 간직한 신앙의 열정을 느낀 그는 돌아가면 영국 교회를 위해 헌신하겠다는 열정으로 불탔고, 많은 그리스도교 서적을 구해서 돌아왔다. 그는 순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장차 성경 연구와 영적인 일에 헌신하겠다는 결심을 굳혔다.

   그로부터 12년 후인 665년에 성 베네딕토 비스콥은 두 번째 로마 여행을 떠났다. 그리고 이듬해 돌아오는 길에 프랑스 남동부 프로방스(Provence) 연안의 수도회 섬으로 유명한 레랭섬(Lerins Is., 오늘날의 생토노라[Saint-Honorat])에 들렀다가 그곳에서 성 베네딕토회 수도승이 되어 2년 동안 머물렀다. 그때 수도 서원을 하면서 ‘베네딕토’라는 수도명을 받아 베네딕토 비스콥으로 불리게 되었다. 667년까지 레랭 수도원에서 2년을 보낸 후 그는 다시 세 번째 로마 순례를 떠났다. 이때 교황 성 비탈리아노(Vitalianus, 1월 27일)는 마침 공석이 되었던 영국 캔터베리(Canterbury) 대교구의 신임 대주교로 임명하여 축성한 성 테오도로(Theodorus, 9월 19일)를 수행해 돌아가도록 명했다. 669년 캔터베리 주교좌에 오른 성 테오도로 대주교는 성 베네딕토 비스콥을 자기 교구의 성 베드로(Petrus)와 성 바오로(Paulus) 수도원의 원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2년 동안 짧게 수도원장직을 수행한 후 성 하드리아노(Hadrianus, 1월 9일)에게 원장직을 물려주었다.

   세 번의 로마 여행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은 성 베네딕토 비스콥은 이제 영국 실정에 맞는 수도원을 직접 설립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새 수도원에 필요한 성인들의 유해와 각종 성물과 종교 예술품 그리고 도서관에 들어갈 다양한 서적을 수집하기 위해 로마를 여행했다. 이것이 네 번째 방문이었는데, 이때 그는 여러 수도원을 방문해 수도원 규칙에 대해 철저히 연구하였다. 그리고 노섬브리아로 돌아와 에그프리드(Egfrid) 왕의 도움을 받아 674년에 위어강(Wear R.) 어귀에 수도원을 세워 사도 성 베드로에게 봉헌하였다. 이 건물은 그 당시 영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건축 공법으로 건립되었는데, 로마와 프랑크 왕국에서 데려온 석공과 장인들이 참여해 지금도 유명한 웨어머스(Wearmouth)의 성 베드로 수도원이 되었다. 679년에 성 베네딕토 비스콥은 생애 마지막이자 다섯 번째로 로마를 방문해 교황 성 아가토(Agatho, 1월 10일)를 만나 영국 수도원의 현황을 보고하고 웨어머스 수도원에 대한 교황의 승인과 특전을 받아왔다. 그 외에도 수도원 도서관에 보관할 많은 서적과 성인들의 유물 등을 가지고 돌아왔다.

   682년에는 그는 성 에오스터와인(Eosterwine, 3월 7일)에게 원장직을 물려주고 첫 수도원과 멀지 않은 타인강(Tyne R.) 옆에 두 번째 수도원을 지어 685년에 사도 성 바오로에게 봉헌했다. 이 수도원이 재로우(Jarrow)의 성 바오로 수도원으로 초대 원장으로는 성 체올프리도(Ceolfridus, 9월 25일)를 임명하였다. 성 베네딕토 비스콥은 이 두 수도원의 수도자들이 성무일도를 노래하고 그레고리안 성가를 익히도록 음악 전문가를 초빙하였다. 그리고 성 베네딕토의 수도 규칙과 그동안 방문했던 여러 수도원의 관습을 바탕으로 두 수도원 공동체를 위한 규칙을 제정하였다. 에그프리드 왕은 두 수도원이 훌륭히 완공된 기념으로 그에게 위어강 남쪽의 땅을 하사했는데, 그곳은 ‘분리된 땅’이란 의미를 지닌 ‘선더드 랜드’(Sundered land)로 불리다가 오늘날의 ‘선덜랜드’(Sunderland)라는 이름의 도시로 발전하였다.

   성 베네딕토 비스콥의 지도하에 두 수도원은 영국적 수도원의 모델로 성장하며 학문과 로마 전례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특히 많은 책을 소장한 도서관이 유명했는데, 이곳에서 그의 대표적 제자인 성 베다 존자(Beda Venerabilis, 5월 25일)가 교육을 받고 역사에 남을 책들을 저술하였다. 그는 생애의 마지막 3년을 중풍으로 침대 위에서 지내다가 690년경 1월 12일 성 베드로 수도원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전기는 제자인 성 베다가 썼다. 옛 “로마 순교록”은 1월 12일 목록에서 간단히 영국의 수도원장인 성 베네딕토의 이름만 전해주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오늘날 영국 노섬브리아 웨어머스에 있는 성 베네딕토회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이었던 성 베네딕토 비스콥이 로마를 다섯 번이나 순례하며 교사들을 초빙하고 많은 책을 고국으로 가져와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중심으로 많은 수도승이 지적인 풍요로움 안에서 그리스도의 완전한 사랑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고 기록하였다. 그는 베네트 비스콥(Benet Biscop)으로도 불린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