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교리 자료실

제목 신학 산책17: 사적 계시(私的 啓示)를 믿어야 하나요?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15-06-23 조회수2,567 추천수0

신학 산책 (17) 사적 계시(私的 啓示)를 믿어야 하나요?



“파티마 성모님의 발현을 믿어야 하나요?”, “루르드 성모님 발현지에 가서 기도해서 많은 사람들이 기적적으로 치유 되었다던데, 그게 사실이라면 저도 거기 가서 기도하면 그런 은총을 받을 수 있을까요?”, “메주고리예에서 발현하신 분도 성모님 맞나요? 그렇다면 성모님께서 들려주셨다는 말씀도 모두 믿어야 하나요?”

그리스도교 2000년의 역사 안에서 하느님이나 예수님, 또는 성모님이나 다른 성인을 보고 직접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특히 현대에 와서는 성모님의 발현과 관련하여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 성모님 발현지로 성지순례를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인간을 만나러 오시는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을 내어주시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완성된 계시를 공적 계시라 한다면, ‘발현, 환시, 들음, 예언 등과 같은 현상을 통해 개인에게 전해진 계시’를 사적 계시라 할 수 있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교부들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영광스럽게 나타나시기 전에는 어떠한 새로운 공적 계시도 바라지 말아야 한다”(계시 헌장, 4항)고 가르치고 있다. 그러므로 사적 계시들은 “그리스도의 결정적 계시를 ‘개선’하거나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한 시대에서 계시에 따른 삶을 더욱 충만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지나지 않는”(가톨릭교회교리서, 67항) 것이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각자 스스로 판단하여 사적 계시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교회는 교도권을 통해 “하느님의 명령과 성령의 도우심으로 그것[하느님의 말씀]을 경건히 듣고 거룩히 보존하고 충실히 해석”(계시 헌장, 10항)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있기에, 사적 계시들에 대한 판단과 해석, 그리고 그 진실성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보여준다.

하지만 어떠한 사적 계시들에 대해 교회가 엄격한 심사를 거쳐 동의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이 곧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그 계시 내용을 믿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동의는 단지 그 계시가 신자들의 영적인 삶에 있어서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인정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록 사적 계시 중 어떤 것들이 교회의 권위로 인정을 받았다 할지라도 그것들은 “신앙의 유산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가톨릭교회교리서, 67항). 즉, 사적 계시는 그리스도인들이 반드시 믿어야 하는 교리가 아니라, 개인의 신앙 생활에 있어 자유로운 선택에 맡겨진 것임을 의미한다.

분명히 해 보자. 어떠한 사적 계시에 대해 교회가 인정하였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그 계시를 받아들여도 좋고 받아들이지 않아도 괜찮다. 하느님 나라를 향해 가는 신앙의 여정에 있어 그 계시들이 우리의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주고,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을 더 굳게 하며, 복음의 삶을 살도록 도와준다면, 그 사적 계시를 우리 신앙인들은 하느님께서 주시는 또 하나의 선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사적 계시에 대해 교회가 인정을 하지 않았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그 사적 계시를 받아들이거나 믿지 말아야 한다.

[2015년 6월 21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남북통일 기원 미사) 청주주보 4면, 김대섭 바오로 신부(복음화연구소장)]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