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교리 자료실

제목 가톨릭 영상교리31: 한국의 순교 성인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22-11-29 조회수1,570 추천수0

[가톨릭 영상교리] (31) 한국의 순교 성인


모진 박해 속 그리스도교 신앙 증거한 선조들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복자화.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이란 제목의 이 걸개그림은 김형주(이멜다) 화백의 작품이다.

 

 

“오늘 우리는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안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승리를 경축합니다. 이제 그분들의 이름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의 이름 옆에 나란히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 순교자들은 모두 그리스도를 위하여 살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죽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그들은 환희와 영광 속에서 그리스도의 다스림에 함께 참여합니다.”(프란치스코 교황,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 미사 강론’ 중에서, 2014년 8월 16일)

 

한국 가톨릭교회는 현재 103위 성인과 124위 복자를 모시고 있습니다. 103위 성인은 1984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집전으로 시성됐으며, 124위 복자는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집전으로 시복됐습니다. 또 ‘땀의 순교자’라고 불리는 한국인 두 번째 사제,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의 시복은 마지막 ‘기적 심사’ 절차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한국 교회는 현재 ‘하느님의 종 이벽 요한 세례자와 동료 132위’,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 ‘하느님의 종 신상원 보니파시오 사우어 아빠스와 동료 37위’의 시복 시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의 종 이벽 요한 세례자와 동료 132위’는 조선 왕조 치하에서 신앙을 위해 죽임을 당한 순교자들입니다. 한국 교회 초기 공동체에서 주요 역할을 하다가 1785년에 순교한 이벽 요한 세례자를 비롯해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권철신 암브로시오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1879년까지의 순교자들입니다.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는 근현대 신앙의 증인들입니다. 1901년 제주교난 순교자들과와 한국전쟁 직후 공산당의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증오’ 때문에 공산주의자들의 조직적인 박해로 죽임을 당한 순교자들입니다. 스무 명의 외국인 선교 사제와 세 명의 외국인 수녀가 포함돼 있습니다.

 

‘하느님의 종 신상원 보니파시오 사우어 아빠스와 동료 37위’는 성 베네딕도회 덕원자치수도원구와 함흥대목구 지역에서 사목을 펼치다 한국전쟁 전후로 북한 공산정권에 의해 순교한 분들입니다.

 

이처럼 한국 교회의 순교 신앙은 제2의 박해기라고 부르는 한국전쟁 시기에 다시 한 번 불타올랐으며 우리 안에 깊게 흐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자비한 폭력과 살인이 행해지던 전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분들이 보여준 선택과 행동은 오늘날 우리에게 큰 가르침과 모범으로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순교자들을 기억하고 공경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그분들이 모범으로 그리스도인이 가야 할 길을 안내해 주시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순교 성인들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뿌리내리게 하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만난 우리의 선조들은 예수님께 마음을 열고 복음의 진리를 발견하셨습니다. 당대의 엄격한 신분 사회 구조와 맞서 형제적 나눔의 삶을 선택하셨습니다. 또 모진 박해 속에서 인간적인 모멸감과 수치심을 견디며 극도의 고통 속에서도 하느님을 향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으셨습니다. 죽기까지 하느님을 믿고, 바라고, 사랑했습니다.

 

사실 오늘날에는 박해 시대의 신앙 선조들처럼 피의 순교를 요구하는 박해는 더 이상 없습니다. 그렇지만 극단적인 이기주의와 물질 만능주의, 쾌락주의의 거센 물결은 우리에게 또 다른 순교를 요구합니다. 가정과 교회, 사회 안에서 복음적 삶에 충실히 응답하기 위해 매 순간 순교자적 용기와 결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님께서는 “저마다 자기 길에서” 성덕의 소명으로 이끌고 계십니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무한한 사랑으로 자녀를 키우는 부모, 가정을 부양하고자 열심히 일하는 남자와 여자, 한시도 미소를 잃지 않는 노수도자”처럼 한결같이 앞으로 나아가는 그들에게서, 곧 우리 옆집 이웃 안에서 성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 11항 참조)

 

그렇기에 순교자들이 보여준 성덕의 표양은 우리가 도달할 수 없는 것이 아닌, 하느님의 생명이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증언의 모습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순교자들이 우리에게 보여주신 죽기까지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삶을 현대의 또 다른 모습으로 살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온전히 믿고 따르는 것. 그것은 하늘나라에 계신 우리의 순교자들이 지금 우리에게 애타게 바라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한국의 순교자들이여,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 가톨릭 영상 교리 보러가기

https://youtu.be/eFdZJBmHt0s

 

[가톨릭평화신문, 2022년 11월 27일]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