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 DE NORMIS GENERALIBUS

교회 교리서
Titulus IV DE ACTIBUS ADMINISTRATIVIS SINGULARIBUS
교회 교리서

Caput V De dispensationibus

제 5 절 관면(寬免)

Can. 85 - Dispensatio, seu legis mere ecclesiasticae in casu particulari relaxatio, concedi potest ab iis qui potestate gaudent exsecutiva intra limites suae competentiae, necnon ab illis quibus potestas dispensandi explicite vel implicite competit sive ipso iure sive vi legitimae delegationis.
제 85 조 관면 즉 순전히 교회의 법률에 대한 개별적인 경우의 해제는, 집행권을 가지는 이들이 그의 관할 범위 내에서 허가할 수 있고, 또한 법 자체로나 합법적 위임에 의하여 명시적으로나 묵시적으로 관면권을 가지는 이들도 허가할 수 있다.
Can. 86 - Dispensationi obnoxiae non sunt leges quatenus ea definiunt, quae institutorum aut actuum iuridicorum essentialiter sunt constitutiva.
제 86 조 법 제도들이나 법률 행위들을 본질적으로 구성하는 요건들을 규정하는 법률들은 그 한도만큼 관면이 되지 아니한다.
Can. 87 - §1. Episcopus dioecesanus fideles, quoties id ad eorundem spirituale bonum conferre iudicet, dispensare valet in legibus disciplinaribus tam universalibus quam particularibus pro suo territorio vel suis subditis a suprema Ecclesiae auctoritate latis, non tamen in legibus processualibus aut poenalibus, nec in iis quarum dispensatio Apostolicae Sedis aliive auctoritati specialiter reservatur.
제 87 조 ① 교구장 주교는 자기의 구역이나 자기의 소속자들을 위하여 교회의 최고 권위에 의하여 제정된 규율 법률들에 대하여 보편법들이든지 개별법들이든지 신자들의 영적 선익에 기여한다고 판단하는 때마다 관면할 수 있다. 그러나 소송법들이나 형법들, 또는 그 관면이 사도좌나 다른 권위자에게 특별히 유보되어 있는 법률들에 대하여는 관면할 수 없다.
§2. Si difficiis sit recursus ad Sanctam Sedem et simul in mora sit periculum gravis damni, Ordinarius quicumque dispensare valet in iisdem legibus, etiam si dispensatio reservatur Sanctae Sedi, dummodo agatur de dispensatione quam ipsa in iisdem adiunctis concedere solet, firmo praescriptoCan. 291.
② 성좌에 소원하기가 어렵고 동시에 지체하면 중대한 손해의 위험이 있으면, 비록 그 관면이 성좌에 유보되어 있더라도 성좌가 동일한 상황에서 통상 허가하는 관면인 경우에는 어느 직권자이든지 위와 같은 법률들에 대하여 관면할 수 있다. 다만 제291조의 규정은 보존된다.
Can. 88 - Ordinarius loci in legibus dioecesanis atque, quoties id ad fidelium bonum conferre iudicet, in legibus a Concilio plenario vel provinciali aut ab Episcoporum conferentia latis dispensare valet.
제 88 조 교구 직권자는 교구의 법률들뿐 아니라 전체 공의회나 관구 공의회 또는 주교회의에서 제정된 법률들에 대하여도 신자들의 선익에 기여한다고 판단하는 때마다 관면할 수 있다.
Can. 89 - Parochus aliique presbyteri aut diaconi a lege universali et particulari dispensare non valent, nisi haec potestas ipsis expresse concessa sit.
제 89 조 본당 사목구 주임과 그 밖의 탁덕들이나 부제들은 보편법과 개별법에 대하여 관면할 수 없다. 다만 이 관면권이 그들에게 명시적으로 수여되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90 - §1. A lege ecclesiastica ne dispensetur sine iusta et rationabili causa, habita ratione adiuctorum casus et gravitatis legis a qua dispensatur; alias dispensatio illicita est, nisi ab ipso legislatore eiusve superiore data sit, etiam invalida.
제 90 조 ① 교회의 법률은 관면될 사항의 상황과 법률의 중대성을 참작하여 정당하고 합리적인 이유 없이는 관면되지 못한다. 그러하지 아니한 관면은 불법이고, 또한 입법자 본인이나 그의 장상이 허가한 것이 아닌 한 무효다.
§2. Dispensatio in dubio de sufficientia causae valide et licite conceditur.
② 이유가 충분한지 의문 중에는 관면은 유효하고 가합하게 허가된다.
Can. 91 - Qui gaudet potestate dispensandi eam exercere valet, etiam extra territorium exsistens, in subditos, licet a territorio absentes, atque, nisi contrarium expresse statuatur, in peregrinos quoque in territorio actu degentes, necnon erga seipsum.
제 91 조 관면권을 가지는 이는 자기 구역 밖에 있는 때에도 소속자들에 대하여 비록 그들이 그 구역을 떠나 있더라도 관면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그 구역에 현재 머물고 있는 체재자들뿐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하여도 관면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반대되는 명문 규정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92 - Strictae subest interpretationi non solum dispensatio ad normamCan. 36, §1, sed ipsamet potestas dispensandi ad certum casum concessa.
제 92 조 관면뿐 아니라 특정한 사항을 위하여 수여된 관면권 자체도 제36조 제1항의 규범대로 좁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an. 93 - Dispensatio quae tractum habet successivum cessat iisdem modis quibus privilegium, necnon certa ac totali cessatione causae motivae.
제 93 조 계속적으로 적용되는 관면은 특전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끝나고, 또한 동기 이유의 확실한 전적 종지로써도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