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 DE NORMIS GENERALIBUS

교회 교리서
TITULUS IX DE OFFICIIS ECCLESIASTICIS
교회 교리서

TITULUS IX DE OFFICIIS ECCLESIASTICIS

제 9 장 교회 직무

Can. 145 - §1. Officium ecclesiasticum est quodlibet munus ordinatione sive divina sive ecclesiastica stabiliter constitutum in finem spiritualem exercendum.
제 145 조 ① 교회 직무는 영적 목적을 위하여 집행되도록 하느님이나 교회의 법규에 따라 고정적으로 설정된 온갖 임무이다.
§2. Obligationes et iura singulis officiis ecclesiasticis propria definiuntur sive ipso iure quo officium constituitur, sive decreto auctoritatis competentis quo constituitur simul et confertur.
② 각 교회 직무의 고유한 의무와 권리는 그 직무가 설정되는 법 자체나 또는 이를 설정하고 수여하는 관할권자의 교령으로 규정된다.

CAPUT I DE PROVISIONEOFFICII ECCLESIASTICI

제 1 절 교회 직무의 서임

Can. 146 - Officium ecclesiasticum sine provisione canonica valide obtineri nequit.
제 146 조 교회 직무는 교회법적 서임이 없이는 유효하게 취득될 수 없다.
Can. 147 - Provisio officii ecclesiastici fit: per liberam collationem ab auctoritate ecclesiastica competenti; per institutionem ab eadem datam, si praecesserit praesentatio; per confirmationem vel admissionem ab eadem factam, si praecesserit electio vel postulatio; tandem per simplecem electionem et electi acceptationem, si electio non egeat confirmatione.
제 147 조 교회 직무의 서임은 교회 관할권자에 의한 임의 수여로써, 제청이 선행된다면 임용으로써, 선거나 천거가 선행된다면 추인이나 허가로써, 그리고 추인이 필요 없는 선거라면 단순한 선거와 당선자의 수락만으로써 이루어진다.
Can. 148 - Auctoritati, cuius est officia erigere, innovare et supprimere, eorundem provisio quoque competit, nisi aliud iure statuatur.
제 148 조 직무들을 설립하고 개신하며 폐지하는 소임이 있는 권위자가 그 직무들의 서임도 관할한다. 다만 법으로 달리 규정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149 - §1. Ut ad officum ecclesiasticum quis promoveatur, debet esse in Ecclesiae communione necnon idoneus, scilicet iis qualitatibus praeditus, quae iure universali vel particulari aut lege fundationis ad idem officium requiruntur.
제 149 조 ① 교회 직무에 기용되려면 교회의 친교 안에 있어야 하고 적격자 즉 보편법이나 개별법 또는 설립법으로 그 직무에 요구되는 자격을 구비한 자라야 한다.
§2. Provisio officii ecclesiastici facta illi qui caret qualitatibus requisitis, irrita tantum est, si qualitates iure universali vel particulari aut lege fundationis ad validitatem provisionis expresse exigantur; secus valida est, sed rescindi potest per decretum auctoritatis competentis aut per sententiam tribunalis administrativi.
② 요구되는 자격이 결여된 자에게 이루어진 교회 직무의 서임은 그 자격이 보편법이나 개별법 또는 설립법으로 서임의 유효 요건으로서 명시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만 무효다.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유효하되, 관할권자의 교령이나 행정 법원의 판결로 취소될 수 있다.
§3. Provisio officii simoniace facta ipso iure irrita est.
③ 성직 매매로 이루어진 직무의 서임은 법 자체로 무효다.
Can. 150 - Officium secumferens plenam animarum curam, ad quam adimplendam ordinis sacerdotalis exercitium requiritur, ei qui sacerdotio nondum auctus est valide conferri nequit.
제 150 조전면적 사목을 수반하는 직무, 즉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제품의 행사가 요구되는 직무는 아직 사제품에 오르지 아니한 자에게는 유효하게 수여될 수 없다.
Can. 151 - Provisio officii animarum curam secumferentis, sine gravi causa ne differatur.
제 151 조 사목을 수반하는 직무의 서임은 중대한 이유 없이는 지연되지 말아야 한다.
Can. 152 - Nemini conferantur duo vel plura officia incompatibiia, videlicet quae una simul ab eodem adimpleri nequeunt.
제 152 조 겸임할 수 없는 즉 동일인이 한꺼번에 수행할 수 없는 두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직무들은 아무에게도 수여되지 말아야 한다.
Can. 153 - §1. Provisio officii de iure non vacantis est ipso facto irrita, nec subsequenti vacatione convalescit.
제 153 조 ① 법률상 공석이 아닌 직무의 서임은 그 사실 자체로 무효이며 뒤따르는 공석으로도 유효화되지 아니한다.
§2. Si tamen agatur de officio quod de iure ad tempus determinatum confertur, provisio intra sex menses ante expletum hoc tempus fieri potest, et effectum habet a die officii vacationis.
② 법률상 규정된 기한부로 수여되는 직무인 경우에는 그 임기 만료 전 6개월 이내에 서임이 될 수 있으나, 그 직무가 공석이 된 날부터 효과를 낸다.
§3. Promissio alicuius officii, a quocumque est facta, nullum parit iuridicum effectum.
③ 직무의 약속은 어느 누가 한 것이든지 아무런 법적 효과도 내지 아니한다.
Can. 154 - Officium de iure vacans, quod forte adhuc ab aliquo ilegitime possidetur, conferri potest, dummodo rite declaratum fuerit eam possessionem non esse legitimam, et de hac declaratione mentio fiat in litteris collationis.
제 154 조 법률상 공석이 된 직무는 혹시 아직도 누군가에 의하여 불법적으로 점유되고 있더라도 수여될 수 있다. 다만 그 점유가 합법적이 아님을 정식으로 선언하고 이 선언에 대하여 수여서에 언급하여야 한다.
Can. 155 - Qui, vicem alterius neglegentis vel impediti supplens, officium confert, nullam inde potestatem acquirit in personam cui collatum est, sed huius condicio iuridica perinde constituitur, ac si provisio ad ordinariam iuris normam peracta fuisset.
제 155 조 태만하거나 방해당한 타인을 대신하여 직무를 수여하는 이는 그로써 수여받은 사람에 대하여 아무런 권력도 취득하지 못하며, 그 법적 조건은 서임이 통상적 법규범대로 이루어진 것처럼 성립된다.
Can. 156 - Cuiuslibet officii provisio scripto consignetur.
제 156 조어느 직무의 서임이든지 서면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Art. 1 DE LIBERA COLLATIONE

제 1 관 임의 수여

Can. 157 - Nisi aliud explicite iure statuatur. Episcopi dioecesani est libera collatione providere officiis ecclesiasticis in propria Ecclesia particulari.
제 157 조 교구장 주교는 자기의 개별 교회에서 교회 직무를 임의 수여로 서임할 소임이 있다. 다만 법으로 달리 명시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Art. 2 DE PRAESENTATIONE

제 2 관 제청

Can. 158 - §1. Praesentatio ad officium ecclesiasticum ab eo, cui ius praesentandi competit, fieri debet auctoritati cuius est ad officium de quo agitur institutionem dare, et quidem, nisi aliud legitime cautum sit, intra tres menses ab habita vacationis officii notitia.
제 158 조 ① 교회 직무에의 제청은 제청권을 소관하는 이에 의하여 그 해당 직무에 임용할 소임이 있는 권위자에게 직무의 공석의 통보를 받은 지 3개월 이내에 제출되어야 한다. 다만 합법적으로 달리 조처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Si ius praesentationis cuidam collegio aut coetui personarum competat, praesentandus designetur servatis cann. 165 - 179 praescriptis.
② 제청권을 어느 특정한 단체나 집단이 소관하면 제청될 자는 교회법 제165-179조의 규정에 따라 지명되어야 한다.
Can. 159 - Nemo invitus praesentetur; quare qui praesentandus proponitur, mentem suam rogatus, nisi intra octiduum utile recuset, praesentari potest.
제 159 조 아무도 본인의 의사를 거슬러 제청되지 말아야 한다. 따라서 제청될 자로 제의된 이가 그의 의사를 문의받고 8일의 유용 기간 내에 거절하지 아니하는 한 제청될 수 있다.
Can. 160 - §1. Qui iure praesentationis gaudet, unum aut etiam plures, et quidem tum una simul tum successive, praesentare potest.
제 160 조 ① 제청권을 가지는 이는 한 명이나 여러 명이라도 한꺼번에나 순차적으로나 제청할 수 있다.
§2. Nemo potest seipsum praesentare; potest autem collegium aut coetus personarum aliquem suum sodalem praesentare.
② 아무도 자기 자신을 제청할 수 없다. 그러나 여러 사람들의 단체나 집단은 그 구성원 중에 한 명을 제청할 수 있다.
Can. 161 - §1. Nisi aliud iure statuatur, potest qui aliquem praesentaverit non idoneum repertum, altera tantum vice, intra mensem, alium candidatum praesentare.
제 161 조 ① 어떤 이를 제청하였는데 적격자가 아님이 드러나면 한 번만 더 한 달 이내에 다른 후보자를 제청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달리 규정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Si praesentatus ante institutionem factam renuntiaverit aut de vita decesserit, potest qui iure praesentandi pollet, intra mensem ab habita renuntiationis aut mortis notitia, ius suum rursus exercere.
② 제청된 자가 임용되기 전에 사퇴하거나 사망하였으면, 제청권을 가지는 이는 사퇴나 사망의 통보를 받은 지 한 달 이내에 자기의 권리를 다시 행사할 수 있다.
Can. 162 - Qui intra tempus utile, ad normamCan. 158, §1 etCan. 161 praesentationem non fecerit, itemque qui bis praesentaverit non idoneum repertum, pro eo casu ius praesentationis amittit, atque auctoritati, cuius est institutionem dare, competit libere providere officio vacanti, assentiente tamen proprio provisi Ordinario.
제 162 조 교회법 제158조 제1항과 제161조의 규범을 따라 유용 기간 내에 제청을 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두 차례 제청하였는데 적격자가 아님이 드러나면 그 경우에 한하여 제청권을 상실하고, 임용할 소임이 있는 권위자가 서임 후보자의 소속 직권자의 동의 아래 그 공석이 된 직무에 임의로 서임할 권한이 있다.
Can. 163 - Auctoritas, cui ad normam iuris competit praesentatum instituere, instituat legitimepraesentatum quem idoneum reppererit et qui acceptaverit; quod si plures legitime praesentati idonei repertisint, eorundem unum instituere debet.
제 163 조 법규범에 따라 제청된 자를 임용할 소임이 있는 권위자는 합법적으로 제청된 자가 적격자로 드러나고 그가 수락하였으면 임용하여야 한다. 여러 명이 합법적으로 제청되고 적격자들로 드러나면 그들 중에 한 명을 임용하여야 한다.
맨 처음이전 1 2 3 4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