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I DE POPULO DEI

교회 교리서
PARS II DE ECCLESIAECONSTITUTIONE HIERARCHICA SECTIO II DE ECCLESIIS PARTICULARIBUSDEQUE EARUNDEM COETIBUS TITULUS I DE ECCLESIIS PARTICULARIBUSET DE AUCTORITATEIN IISDEM CONSTITUTA
교회 교리서

Art. 3 DE EPISCOPIS COADIUTORIBUS ET AUXILIARIBUS

제 3 관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

Can. 403 - §1. Cum pastorales dioecesis necessitates id suadeant, unus vel plures Episcopi auxiliares, petente Episcopo dioecesano, constituantur Episcopus auxiliaris iure successionis non gaudet.
제 403 조 ① 교구의 사목적 필요가 있으면 교구장 주교의 요청에 의하여 한 명이나 여러 명의 보좌 주교들이 임명되어야 한다. 보좌 주교는 계승권을 가지지 아니한다.
§2. Gravioribus in adiunctis, etiam indolis personalis, Episcopo dioecesano dari potest Episcopus auxiiaris specialibus instructus facultatibus.
② 개인적 성격까지 포함하여 더 중대한 사정이 있으면 교구장 주교에게 특수한 특별 권한을 갖는 보좌 주교가 부여될 수 있다.
§3. Sancta Sedes, si magis opportunum id ipsi videatur, ex officio constituere potest Episcopum coadiutorem, qui et ipse specialibus instruitur facultatibus; Episcopus coadiutor iure successionis gaudet.
③ 성좌는 더욱 합당하다고 여기면 특수한 특별 권한을 갖는 부교구장 주교를 직권으로 선임할 수 있다. 부교구장 주교는 계승권을 가진다.
Can. 404 - §1. Episcopus coadiutor officii sui possessionem capit, cum litteras apostolicas nominationis, per se vel per procuratorem, ostenderit Episcopo dioecesano atque collegio consultorum, praesente curiae cancellario, qui rem in acta referat.
제 404 조 ① 부교구장 주교는 몸소 또는 대리인을 통하여 사도좌의 임명장을 교구장 주교와 교구 참사회에 제시하고 교구청의 사무처장이 입회하여 그 사실을 문서로 기록하는 때에 그의 직무에 취임을 한다.
§2. Episcopus auxiiaris officii sui possessionem capit, cum litteras apostolicas nominationis ostenderit Episcopo dioecesano, praesente curiae cancellario, qui rem in acta referat.
② 보좌 주교는 사도좌의 임명장을 교구장 주교에게 제시하고 교구청의 사무처장이 입회하여 그 사실을 문서로 기록하는 때에 그의 직무에 취임을 한다.
§3. Quod si Episcopus dioecesanus plene sit impeditus, sufficit ut tum Episcopus coadiutor, tum Episcopus auxiliaris litteras apostolicas nominationis ostendant collegio consultorum, praesente curiae cancellario.
③ 교구장 주교가 전적으로 장애되는 때에는, 부교구장 주교든지 보좌 주교든지 사도좌의 임명장을 교구청 사무처장의 입회 아래 교구 참사회에 제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Can. 405 - §1. Episcopus coadiutor, itemque Episcopus auxiiaris, obligationes et iura habent quae determinantur praescriptis canonum qui sequuntur, atque in litteris suae nominationis definiuntur.
제 405 조 ① 부교구장 주교 및 보좌 주교는 아래의 교회법 조문에 규정된 것과 그의 임명장에 규정된 의무와 권리를 가진다.
§2. Episcopus coadiutor et Episcopus auxiliaris, de quo inCan. 403, §2, Episcopo dioecesano in universo dioecesis regimine adstant atque eiusdem absentis vel impedit vices supplent.
② 부교구장 주교와 제403조 제2항에 언급된 보좌 주교는 교구의 전반적 통치에 교구장 주교를 보필하고 또한 그의 부재 시나 유고 시에 그를 대행한다.
Can. 406 - §1. Episcopus coadiutor, itemque Episcopus auxiiaris, de quo inCan. 403, §2, ab Episcopo dioecesano Vicarius generalis constituatur; insuper ipsi prae ceteris Episcopus dioecesanus committat quae ex iure mandatum speciale requirant.
제 406 조 ① 부교구장 주교와 제403조 제2항에 언급된 보좌 주교는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총대리로 선임되어야 한다. 또한 교구장 주교는 법률상 특별 위임이 요구되는 일을, 다른 이들보다 우선하여 이들에게 맡겨야 한다.
§2. Nisi in litteris apostolicis aliud provisum fuerit et firmo praescripto §1, Episcopus dioecesanus auxiliarem vel auxiiares suos constituat Vicarios generales vel saltem Vicarios episcopales, ab auctoritate sua, aut Episcopi coadiutoris vel Episcopi auxiiaris de quo inCan. 403, §2, dumtaxat dependentes.
② 교구장 주교는 자기의 보좌 주교나 보좌 주교들을 자기의 권위에 예속되거나 또는 부교구장 주교나 제403조 제2항에 언급된 보좌 주교의 권위에 예속되는, 총대리들이나 적어도 교구장 대리들로 선임하여야 한다. 다만 사도좌의 임명장에 달리 조처되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고 또 제1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Can. 407 - §1. Ut quam maxime praesenti et futuro dioecesis bono faveatur, Episcopus dioecesanus, coadiutor atque Episcopus auxiiaris de quo inCan. 403, §2, in rebus maioris momenti sese invicem consulant.
제 407 조 ① 교구의 현재와 미래의 선익이 최대한 증진되기 위하여 교구장 주교와 부교구장 주교 및 제403조 제2항에 언급된 보좌 주교는 중대한 사안들을 서로 의논하여야 한다.
§2. Episcopus dioecesanus in perpendendis causis maioris momenti, praesertim indolis pastoralis, Episcopos auxiiares prae ceteris consulere velit.
② 교구장 주교는 중대한 사건들을 숙고하는 때 특히 사목적 성격의 일은 다른 이들보다 우선하여 보좌 주교들과 의논하기를 원하여야 한다.
§3. Episcopus coadiutor et Episcopus auxiiaris, quippe qui in partem sollicitudinis Episcopi dioecesani vocati sint, munia sua ita exerceant, ut concordi cum ipso opera et animo procedant.
③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는 교구장 주교의 염려에 동참하도록 소명받은 이들이니만큼 활동과 정신으로 그와 합심하여 진행하도록 자기 임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Can. 408 - §1. Episcopus coadiutor et Episcopus auxiiaris, iusto impedimento non detenti, obligantur ut, quoties Episcopus dioecesanus id requirat, pontificalia et alias functiones obeant, ad quas Episcopus dioecesanus tenetur.
제 408 조 ①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는 교구장 주교가 해야 할 주교 예식과 기타의 의식들을 교구장 주교가 요청할 때마다 정당한 장애로 방해되지 아니하는 한 행할 의무가 있다.
§2. Quae episcopalia iura et functiones Episcopus coadiutor aut auxiliaris potest exercere, Episcopus dioecesanus habitualiter alii ne committat.
② 교구장 주교는 부교구장 주교나 보좌 주교가 집행할 수 있는 주교 권리와 의식들을 늘 다른 이에게 맡기지 말아야 한다.
Can. 409 - §1. Vacante sede episcopali, Episcopus coadiutor statim fit Episcopus dioecesis pro qua fuerat constitutus, dummodo possessionem legitime ceperit.
제 409 조 ① 교구장좌가 공석이 되면 그 즉시 부교구장 주교는 합법적으로 취임을 하였으면 선임되어 있던 그 교구의 주교가 된다.
§2. Vacante sede episcopali, nisi aliud a competenti auctoritate statutum fuerit, Episcopus auxiliaris, donec novus Episcopus possessionem sedis ceperit, omnes et solas servat potestates et facultates quibus sede plena, tamquam Vicarius generalis vel tamquam Vicarius episcopalis, gaudebat; quod si ad munus Administratoris dioecesani, qui regimini dioecesis praeest.
② 교구장좌가 공석이 되면 관할권자에 의하여 달리 정하여져 있지 아니하는 한 보좌 주교는 새 주교가 취임을 할 때까지, 교구장좌 재임 시에 총대리나 교구장 대리로서 가지고 있던 모든 권력과 특별 권한만을 보존한다. 교구장 직무 대행의 임무로 지명되지 아니한 자는 법으로 부여된 자기의 그 권력을 교구의 통치를 지휘하는 교구장 직무 대행의 권위 아래 행사하여야 한다.
Can. 410 - Episcopus coadiutor et Episcopus auxiliaris obligatione tenentur, sicut et ipse Episcopus dioecesanus, residendi in dioecesi; a qua praeterquam ratione alicuius officii extra dioecesim implendi aut feriarum causa, quae ultra mensem ne protrahantur, nonnisi ad breve tempus discedant.
제 410 조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는 교구장 주교와 마찬가지로 그 교구 내에 상주할 의무가 있다. 교구 밖에서 수행할 어떤 직무의 이유 또는 1개월 이상 끌지 말아야 할 휴가의 이유 외에는 짧은 기간이 아닌 한 교구를 떠나지 말아야 한다.
Can. 411 - Episcopo coadiutori et auxiiari, ad renuntiationem ab officio quod attinet, applicantur praescripta cann. 401 et 402, §2.
제 411 조 직무의 사퇴에 관하여는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에게도 제401조와 제402조 제2항의 규정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