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I DE POPULO DEI

교회 교리서
PARS II DE ECCLESIAECONSTITUTIONE HIERARCHICA SECTIO II DE ECCLESIIS PARTICULARIBUSDEQUE EARUNDEM COETIBUS TITULUS I DE ECCLESIIS PARTICULARIBUSET DE AUCTORITATEIN IISDEM CONSTITUTA
교회 교리서

Art. 1 DE SEDE IMPEDITA

제 1 관 교구장좌 유고

Can. 412 - Sedes episcopalis impedita intellegitur, si captivitate, relegatione, exsiio aut inhabilitate Episcopus dioecesanus plane a munere pastorali in dioecesi procurando praepediatur, ne per litteras quidem valens cum dioecesanis communicare.
제 412 조 교구장좌의 유고라 함은 교구장 주교가 체포나 유배나 추방이나 능력 상실 때문에 교구에서 사목 임무의 처리가 온전히 장애되어 서신으로도 교구민들과 연락할 수가 없는 것을 뜻한다.
Can. 413 - §1. Sede impedita, regimen dioecesis, nisi aliter Sancta Sedes pro providerit, competit Episcopo coadiutori, si adsit; eo deficiente aut impedito, alicui Episcopo auxiiari aut Vicario generali vel episcopali aliive sacerdoti, servato personarum ordine statuto in elencho ab Episcopo dioecesano quam primum a capta dioecesis possessione componendo; qui elenchus cum Metropolitana communicandus singulis saltem triennis renoventur atque a cancellario sub secreto servetur.
제 413 조 ① 교구장좌의 유고 때 교구의 통치는 성좌가 달리 조처하지 아니하는 한, 부교구장 주교가 있으면 그의 소관이다. 부교구장 주교가 없거나 그 역시 유고이면 교구장 주교가 교구에 취임을 한 후 되도록 빨리 작성해 둔 명단에 정하여져 있는 사람들의 순서를 따라서 어떤 보좌 주교나 총대리 또는 교구장 대리나 기타의 사제의 소관이다. 관구장에게 통고하여야 할 이 명단은 적어도 3년마다 갱신되고 사무처장에 의하여 비밀히 보관되어야 한다.
§2. Si deficiat aut impediatur Episcopus coadiutor atque elenchus, de quo in §1, non suppetat, collegii consultorum est sacerdote meligere, qui dioecesim regat.
② 부교구장 주교가 없거나 그 역시 유고이고 또한 제1항에 언급된 명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면, 교구 참사회가 교구를 통치할 사제를 선출할 소임이 있다.
§3. Qui dioecesis regimen, ad normam §§1 vel 2, susceperit, quam primum Sanctam Sedem moneat de sede impedita ac de suspecto munere.
③ 제1항이나 제2항의 규범에 따라 교구의 통치를 인수한 자는 교구장좌의 유고와 임무 인수에 관하여 되도록 빨리 성좌에 알려야 한다.
Can. 414 - Quilibet ad normamCan. 423 vocatus ut ad interim dioecesis curam pastoralem gerat pro tempore quo sedes impeditur tantum, in cura pastorali dioecesis exercenda tenetur obligationibus atque potestate gaudet, quae iure Administratori dioecesano competunt.
제 414 조 누구든지 제413조 규범에 따라 교구장좌가 장애되는 동안에만 임시로 교구의 사목을 담당하도록 소명받은 자는, 교구의 사목을 집행함에 있어서 법률상 교구장 직무 대행에게 소관되는 의무와 권리를 가진다.
Can. 415 - Si Episcopus dioecesanus poena ecclesiastica a munere exercendo prohibeatur, Metropolita aut, si is deficiat vel de eodem agatur, suffraganeus antiquior promotione ad Sanctam Sedem statim reccurat, ut ipsa provideat.
제 415 조 교구장 주교가 교회의 형벌로 임무 수행이 금지되면 관구장 또는 관구장이 없거나 그가 당사자인 경우에는 승격의 선배 관하 교구장 주교가 즉시 성좌에 알려 성좌가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