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I DE POPULO DEI

교회 교리서
PARS II DE ECCLESIAECONSTITUTIONE HIERARCHICA SECTIO II DE ECCLESIIS PARTICULARIBUSDEQUE EARUNDEM COETIBUS TITULUS III DE INTERNA ORDINATIONEECCLESIARUM PARTICULARIUM
교회 교리서

TITULUS III DE INTERNA ORDINATIONEECCLESIARUM PARTICULARIUM

제 3 장 개별 교회의 내부 조직

CAPUT I DE SYNODO DIOECESANA

제 1 절 교구 대의원 회의

Can. 460 - Synodus dioecesana est coetus delectorum sacerdotum aliorumque christifidelium Ecclesiae particularis, qui in bonum totius communitatis dioecesanae Episcopo dioecesano adiutricem operam praestant, ad normam canonum qui sequuntur.
제 460 조 교구 대의원 회의는 교구 공동체 전체의 선익을 위하여 아래의 교회법 규범에 따라 교구장 주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개별 교회의 선발된 사제들과 기타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회합이다.
Can. 461 - §1. Synodus dioecesana in singulis Ecclesiis particularibus celebretur cum, iudicio Episcopi dioecesani et audito consiio presbyterali, adiuncta id suadeant.
제 461 조 ① 교구 대의원 회의는 각 개별 교회에서 교구장 주교가 사제 평의회의 의견을 듣고 개최할 만한 사정이 있다고 판단하는 때에 개최된다.
§2. Si Episcopus plurium dioecesium curam habet, aut unius curam habet uti Episcopus proprius, alterius vero uti Administrator, unam synodum dioecesanam ex omnibus dioecesibus sibi commissis convocare potest.
② 주교가 여러 교구들을 사목하거나, 또는 한 교구에는 고유한 주교이고 동시에 다른 교구에는 교구장 서리로서 사목하면 자기에게 맡겨진 모든 교구들에서 하나의 교구 대의원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Can. 462 - §1. Synodum dioecesanam convocat solus Episcopus dioecesanus, non autem qui ad interim dioecesi praeest.
제 462 조 ① 교구 대의원 회의는 교구장 주교만이 소집하고, 임시로 교구를 주관하는 자는 소집하지 못한다.
§2. Synodo dioecesanae praeest Episcopus dioecesanus, qui tamen Vicarium generalem aut Vicarium episcopalem pro singulis sessionibus synodi ad hoc officium implendum delegare potest.
② 교구장 주교가 교구 대의원 회의를 주재하며, 그는 대의원 회의 각 회기에 총대리나 교구장 대리에게 이 직무를 수행하도록 위임할 수 있다.
Can. 463 - §1. Ad synodum dioecesanam vocandi sunt uti synodi sodales eamque participandi obligatione tenentur:
제 463 조 ① 교구 대의원 회의에 대의원으로서 소집되고 또 참석할 의무가 있는 자는 아래와 같다.
1. Episcopus coadiutor atque Episcopi auxiiares;
1. 부교구장 주교와 보좌 주교들.
2. Vicarii generales et Vicarii episcopales, necnon Vicarius iudicialis;
2. 총대리들과 교구장 대리들과 사법 대리.
3. canonici ecclesiae cathedralis;
3. 주교좌 성당의 의전 사제단.
4. membra consilii presbyteralis;
4. 사제 평의회 위원들.
5. christifideles laici, etiam sodales institutorum vitae consecratae, a consiio pastorali eligendi, modo et numero ab Episcopo dioecesano determinandis, aut, ubi hoc consilium non exstet, ratione ab Episcopo dioecesano determinata;
5. 교구장 주교가 정한 방식과 인원수대로 사목 평의회에서 선출되거나 또는 사목 평의회가 없는 곳에서는 교구장 주교가 정한 비율로 선출된 평신도들과 봉헌 생활회 회원들.
6. rector seminarii dioecesani maioris;
6. 교구 대신학교의 학장.
7. vicarii foranei;
7. 감목 대리들.
8. unus saltem presbyter ex unoquoque vicariatu foraneo eligendus ab omnibus qui curam animarum inibi habeant; item eligendus est alius presbyter qui, eodem impedito, in eius locum substituatur;
8. 각 감목 대리구에서 사목하고 있는 모든 이들로부터 선출된 적어도 1명의 탁덕, 또 그가 유고 때에 그를 대체할 다른 탁덕도 선출되어 야 한다.
9. aliqui Superiores institutorum religiosorum et societatum vitae apostolicae, quae in dioecesi domum habent, eligendi numero et modo ab Episcopo dioecesano determinatis.
9. 교구장 주교가 정한 인원수와 방식대로 선출된 교구 내에 집(수도원)을 가지고 있는 수도회들과 사도 생활단들의 약간 명의 원장들.
§2. Ad synodum dioecesanam ab Episcopo dioecesano vocari uti synodi sodales possunt alii quoque, sive clerici, sive institutorum vitae consecratae sodales, sive christifideles laici.
② 성직자들이거나 봉헌 생활회 회원들이거나 평신도들이거나 그 밖의 사람들도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교구 대의원 회의에 대의원으로서 소집될 수 있다.
§3. Ad synodum dioecesanam Episcopus dioecesanus, si id opportunum duxerit, invitare potest uti observatores aliquos ministros aut sodales Ecclesiarum vel communitatum ecclesialium, quae non sunt in plena cum Ecclesia catholica communione.
③ 교구장 주교는 타당하다고 여기면,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친교 안에 있지 아니하는 교회나 교회 공동체의 교역자들이나 회원들을 교구 대의원 회의에 참관인으로 초대할 수 있다.
Can. 464 - Synodo sodalis, si legitimo detineatur impedimento, non potest mittere procuratorem qui ipsius nomine eidem intersit; Episcopum vero dioecesanum de hoc impedimento certiorem faciat.
제 464 조 대의원이 합법적인 장애로 방해되어도, 그의 이름으로 거기에 참석할 대리인을 보낼 수 없다. 교구장 주교에게 그 장애에 관하여 알려야 한다.
Can. 465 - Propositae quaestiones omnes liberae sodalium disceptationi in synodi sessionibus subiciantur.
제 465 조 제안된 문제들은 모두 대의원 회의 회기 중에 대의원들의 자유로운 토의에 회부되어야 한다.
Can. 466 - Unus in synodo dioecesana legislator est Episcopus dioecesanus, aliis synodi sodalibus voto tantummodo consultivo gaudentibus unus ipse synodalibus declarationibus et decretis subscribit, quae eius auctoritate tantum publici iuris fieri possunt.
제 466 조 교구장 주교가 교구 대의원 회의에서 유일한 입법자이고, 기타의 대의원들은 건의 투표권만 가진다. 교구장 주교만이 대의원 회의 선언이나 교령에 서명하고, 그의 권위로만 법으로 공포될 수 있다.
Can. 467 - Episcopus dioecesanus textus declarationum ac decretorum synodalium communicet cum Metropolita necnon cum Episcoporum conferentia.
제 467 조 교구장 주교는 대의원 회의 선언과 교령의 본문을 관구장과 주교회의에 보내야 한다.
Can. 468 - §1. Episcopo dioecesano competit pro suo prudenti iudicio synodum dioecesanam suspendere necnon dissolvere.
제 468 조 ① 교구장 주교가 자기의 현명한 판단에 따라 교구 대의원 회의를 중지하거나 해산하는 것을 소관한다.
§2. Vacante vel impedita sede episcopali, synodus dioecesana ipso iure intermittitur, donec Episcopus dioecesanus, qui succedit, ipsam continuari decreverit aut eandem extinctam declaraverit.
② 교구장좌가 공석이나 유고가 되면 그를 계승하는 교구장 주교가 이를 계속하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이의 소멸을 선언할 때까지 교구 대의원 회의는 법 자체로 중지된다.

CAPUT II DE CURIA DIOECESANA

제 2 절 교구청

Can. 469 - Curia dioecesana constat illis institutis et personis, quae Episcopo operam praestant in regimine universae dioecesis, praesertim in actione pastorali dirigenda, in administratione dioecesis curanda, necnon in potestate iudiciali exercenda.
제 469 조 교구청은 교구 전체의 통치에서 특히 사목 활동을 지도하고 교구의 행정을 관리하며 사법권을 행사하는 데에서 주교를 보좌하는 기관들과 사람들로 구성된다.
Can. 470 - Nominatio eorum, qui officia in curia dioecesana exercent, spectat ad Episcopum dioecesanum.
제 470 조 교구청에 직무를 수행하는 자들의 임명은 교구장 주교에게 속한다.
Can. 471 - Omnes qui ad officia in curia admittuntur debent:
제 471 조 교구청의 직무에 기용된 모든 이는 다음의 것을 하여야 한다.
1. promissionem emittere de munere fideliter adimplendo, secundum rationem iure vel ab Episcopo determinatam;
1. 법으로나 주교에 의하여 규정된 방식에 따라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약속을 할 것.
2. secretum servare intra fines et secundum modum iure aut ab Episcopo determinatos.
2. 법으로나 주교에 의하여 규정된 양식에 따라 그 범위 내에서 비밀을 지킬 것.
맨 처음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