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I DE POPULO DEI

교회 교리서
Pars III DE INSTITUTIS VITAE CONSECRATAE ET DE SOCIETATIBUS VITAE APOSTOLICAE SECTIO I DE INSTITUTIS VITAE CONSECRATAE TITULUS II DE INSTITUTIS RELIGIOSIS
교회 교리서

CAPUT VI DE SEPARATIONE SODALIUM AB INSTITUTO

제 6 절 회원의 퇴회

Art. 1 DE TRANSITU AD ALIUD INSTITUTUM

제 1 관 다른 회로의 전속

Can. 684 - §1. Sodalis a votis perpetuis nequit a proprio ad aliud institutum religiosum transire, nisi ex concessione supremi Moderatoris utriusque instituti et de consensu sui cuiusque consiii.
제 684 조 ① 종신 서원한 회원은 소속 수도회로부터 다른 회로 전속할 수 없다. 다만 각각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양편 회의 총원장의 허가가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Sodalis, post peractam probationem quae ad tres saltem annos protrahenda est, ad professionem perpetuam in novo instituto admitti potest. Si autem sodalis hanc professionem emittere renuat vel ad eam emittendam a competentibus Superioribus non admittatur, ad pristinum institutum redeat, nisi indultum saecularizationis obtinuerit.
② 그 회원은 적어도 3년간 지속되어야 하는 시험기를 마친 후 새 (수도)회에서 종신 선서가 허가될 수 있다. 만일 그 회원이 이 선서를 발원하기를 거부하거나 관할 장상이 이를 발원하도록 허가하지 아니하면, 먼저의 회로 되돌아가야 한다. 다만 환속의 윤허를 받았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3. Ut religiosus a monasterio sui iuris ad aliud eiusdem instituti vel foederationis aut confoederationis transire possit, requiritur et sufficit consensus Superioris maioris utriusque monasterii et capituli monasterii recipientis, salvis aliis requisitis iure proprio statutis nova professio non requiritur.
③ 자치 수도승원으로부터 수도자가 같은 회 또는 그 연합회나 연맹의 다른 자치 수도승원에로 전속할 수 있으려면, 고유법으로 정하여진 다른 요건들을 준수하면서 양편의 수도승원의 상급 장상의 동의 및 받아들이는 수도승원의 회의의 동의가 요구되고 또 그것으로 충분하다. 새로운 선서는 요구되지 아니한다.
§4. Ius proprium determinet tempus et modum probationis, quae professioni sodalis in novo instituto praemittenda est.
④ 그 회원이 새 회에서 선서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시험기의 기간과 방식은 그 회의 고유법이 정하여야 한다.
§5. Ut ad institutum saeculare aut ad societatem vitae apostolicae vel ex ilis ad institutum religiosum fiat transitus, requiritur licentia Sanctae Sedis, cuius mandatis standum est.
⑤ 재속회나 사도 생활단에로 전속하거나 또는 이러한 회로부터 수도회로 전속하려면 성좌의 허가가 있어야 하고 그 지시를 따라야 한다.
Can. 685 - §1. Usque ad emissionem professionis in novo instituto, manentibus votis, iura et obligationes quae sodalis in priore instituto habebat, suspenduntur; ab incepta tamen probatione, ipse ad observantiam iuris proprii novi instituti tenetur.
제 685 조 ① 새 회에서 선서를 발원할 때까지 서원은 지속되지만, 회원이 먼저의 회에서 가지고 있던 권리와 의무는 정지된다. 시험기의 시작과 더불어 그는 새 회의 고유법을 지켜야 한다.
§2. Per professionem in novo instituto sodalis eidem incorporatur, cessantibus votis, iuribus et obligationibus praecedentibus.
② 회원은 새 회에서의 선서로써 먼저의 서원과 권리와 의무는 끝나고 새 회에 합체된다.

Art. 2

제 2 관 회에서 나감

Can. 686 - §1. Supremus Moderator, de consensu sui consilii, sodali a votis perpetuis professo, gravi de causa concedere potest indultum exclaustrationis, non tamen ultra quinquennium, praevio consensu Ordinarii loci in quo commorari debet, si agitur de clerico. Indultum prorogare vel illud ultra quinquennium concedere solummodo Sanctae Sedi vel, si de institutis iuris dioecesani agitur, Episcopo dioecesano reservatur.
제 686 조 ① 총원장은 평의회의 동의 아래 종신 서원 선서자에게 중대한 이유로 봉쇄 해제의 윤허를 줄 수 있으나 5년 이상은 아니 된다. 성직자의 경우에는 그가 체류하여야 할 곳의 교구 직권자의 사전 동의가 있어야 한다. 이 윤허를 연장하거나 5년 이상의 윤허를 주는 것은 성좌에게만, 혹은 교구 설립회의 경우에는 교구장 주교에게만 유보된다.
§2. Pro monialibus indultum exclaustrationis concedere unius Apostolicae Sedis est.
② 수녀승들에게 봉쇄 해제의 윤허를 주는 것은 사도좌만의 소임이다.
§3. Petente supremo Moderatore de consensu sui consilii, exclaustratio imponi potest a Sancta Sede pro sodale instituti iuris pontificii vel ab Episcopo dioecesano pro sodale instituti iuris dioecesani, ob graves causas, servata aequitate et caritate.
③ 총원장이 평의회의 동의 아래 청하면, 성좌 설립회의 회원에 대하여는 성좌에 의하여 또는 교구 설립회의 회원에 대하여는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공평과 애덕을 지키면서 중대한 이유로 봉쇄 해제가 부과될 수 있다.
Can. 687 - Sodalis exclaustratus exoneratus habetur ab obligationibus, quae cum nova suae vitae condicione componi nequeunt, itemque sub dependentia et cura manet suorum Superiorum et etiam Ordinarii loci, praesertim si de clerico agitur. Habitum instituti deferre potest, nisi aliud in indulto statuatur. Voce tamen activa et passiva caret.
제 687 조 봉쇄 해제를 받은 회원은 새로운 생활 조건과 병행할 수 없는 의무를 면제받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여전히 소속 장상의 종속과 배려 아래 머물러 있고 특히 성직자인 경우에는 교구 직권자의 종속과 배려 아래에도 있다. 윤허에 달리 정하여 있지 아니하는 한 수도복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없다.
Can. 688 - §1. Qui expleto professionis tempore ab instituto egredi voluerit, illud derelinquere potest.
제 688 조 ① 선서의 기간이 만료된 자는 회에서 나가기를 원하면 떠나갈 수 있다.
§2. Qui perdurante professione temporaria, gravi de causa, petit ut institutum derelinquat, indultum discedendi consequi potest a supremo Moderatore de consensu eius consilii; quoad monasterium sui iuris, de quo in can. 615, indultum, ut valeat, confirmari debet ab Episcopo domus assignationis.
② 유기 선서의 기간 중에 중대한 이유로 회를 떠나기를 청하는 자는,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총원장에게서 회를 떠날 윤허를 받을 수 있다. 제615조에 언급된 자치 수도승원과 관련하여서는 윤허가 유효하려면 그 수도원이 있는 곳의 주교에 의하여 추인되어야 한다.
Can. 689 - §1. Sodalis, expleta professione temporaria, si iustae causae affuerint a competenti Superiore maiore, audito suo consiio, a subsequenti professione emittenda excludi potest.
제 689 조 ① 회원이 유기 선서가 만료된 때에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평의회의 의견을 들은 관할 상급 장상에 의하여 다음 번 선서 발원에서 제외될 수 있다.
§2. Infirmitas physica vel psychica, etiam post professionem contracta, quae, de iudicio peritorum, sodalem, de quo in §1, reddit ineptum ad vitam in instituto ducendam, causam constituit eum non admittendi ad professionem renovendam ad perpetuam emittendam, nisi ob neglentiam instituti vel ob laborem in instituto peractum infirmitas contracta fuerit.
② 제1항에 언급된 회원이 선서 후에라도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병에 걸려 전문가들의 판단으로 회에서의 삶을 살기에 부적합하게 되는 경우, 그에게 선서를 갱신하거나 종신 선서를 발원하기를 불허할 이유가 된다. 다만, 회의 태만이나 또는 회에서 행한 일 때문에 그 질병에 걸렸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3. Si vero religiosus, perdurantibus votis temporariis, amens evaserit, etsi novam professionem emittere non valeat, ab instituto tamen dimitti non potest.
③ 수도자가 유기 서원의 기간 중에 실성하게 되면, 비록 새 선서를 발원할 수 없더라도 회에서 내보낼 수 없다.
Can. 690 - §1. Qui, expleto novitiatu vel post professionem, legitime ab instituto egressus fuerit, a Moderatore supremo de consensu sui consilii rursus admitti potest sine onere repetendi erga sodales instituti amittit presbyter; revocata autem eadem probationem praeviam professioni temporariae et tempus votorum ante professionem perpetuam praemittendum, ad normam cann. 655 et 657.
제 690 조 ① 수련기의 만료나 선서 후에 합법적으로 회에서 나갔던 자는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총원장에 의하여 수련기를 다시 할 책무 없이 다시 입회될 수 있다. 유기 선서 전에 선행될 합당한 시험기와 종신 선서 전에 실행되어야 할 서원 기간을 제655조와 제657조 규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은 총원장의 소임이다.
§2. Eadem facultate gaudet Superior monasterii sui iuris cum consensu sui consilii.
② 자치 수도승원의 장상은 평의회의 동의로 위와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
Can. 691 - §1. Professus a votis perpetuis indultum discedendi ab instituto ne petat, nisi ob gravissimas causas coram Domino perpensas; petitionem suam deferat supremo instituti Moderatori, qui eam una cum voto suo suique consiii auctoritati competenti transmittat.
제 691 조 ① 종신 서원 선서자는 주님 앞에서 심사 숙고한 지극히 중대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면 회를 떠날 윤허를 청하지 말아야 한다. 청원을 회의 총원장에게 제출하면, 이것을 총원장이 자기와 평의회의 의견을 첨부하여 관할권자에게 보내야 한다.
§2. Huiusmodi indultum in institutis iuris pontificii Sedi Apostolicae reservatur; in institutis vero iuris dioecesani, id etiam Episcopus dioecesis, in qua domus assignationis sita est, concedere potest.
② 이러한 윤허는 성좌 설립회에서는 사도좌에 유보된다. 교구 설립회에서는 그 수도원이 있는 곳의 교구장 주교도 이를 허가할 수 있다.
Can. 692 - Indultum discedendi legitime concessum et sodali notificatum, nisi in actu notificationis ab ipso sodale reiectum fuerit, ipso iure secumfert dispensationem a votis necnon ab omnibus obligationibus ex professione ortis.
제 692 조 회를 떠날 윤허가 합법적으로 허가되고 그 회원에게 통고되면, 그 통고의 현장에서 그 회원 자신이 거부하지 아니하는 한, 서원뿐 아니라 선서에서 생긴 모든 의무의 관면도 법률상 수반된다.
Can. 693 - Si sodalis sit clericus, indultum non conceditur priusquam inveniat Episcopum qui eum in dioecesi incardinet vel saltem ad experimentum recipiat. Si ad experimentum recipiatur, transacto quinquennio, ipso iure dioecesi incardinatur, nisi Episcopus eum recusaverit.
제 693 조 그 회원이 성직자이면, 그를 교구에 입적시키거나 적어도 시험삼아 받아 줄 주교를 찾기 전에는, 윤허는 허가되지 아니한다. 시험삼아 받아 주었으면 5년이 지나면 법 자체로 그 교구에 입적된다. 다만 주교가 그를 거절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Art. 3 DE DIMISSIONE SODALIUM

제 3 관 회원의 제명

Can. 694 - §1. Ipso facto dimissus ab instituto habendus est sodalis qui:
1) a fide catholica notorie defecerit;
2) matrimonium contraxerit vel, etiam civiliter tantum, attentaverit;
3) a domo religiosa illegitime absens fuerit, secundum can. 665 § 2, duodecim continuos menses, prae oculis habita eiusdem sodalis irreperibilitate.
제 694 조 ① 그 사실 자체로 회에서 제명된 자로 간주되어야 하는 회원은 다음과 같다.
1. 가톨릭 신앙에서 공공연하게 떠난 자.
2. 혼인을 맺었거나 국법상만으로라도 혼인을 시도한 자.
3. 제665조 제2항에 따라, 현재 소재 불명 상태로 12개월 동안 계속 불법적으로 수도원을 떠난 자.
§2. His in casibus Superior maior cum suo consilio, nulla mora interposita, collectis probationibus, declarationem facti emittat, ut iuridice constet de dimissione.
② 이러한 경우에, 상급 장상은 평의회와 더불어 지체 없이 증거를 모은 후 그 사실에 대한 선언을 내려 제명이 법적으로 확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3. In casu de quo in § 1 n. 3, talis declaratio ut iuridice constet, a Sancta Sede confirmari debet; quod ad instituta iuris dioecesani attinet, confirmatio ad principis Sedis Episcopum spectat.
③ 위 제1항 제3호의 경우에, 이 선언이 법적으로 확정되려면 성좌의 추인을 받아야 한다. 교구 설립 수도회의 경우 이 추인은 본원 소재지의 주교의 소임이다.
Can. 695 - §1. Sodalis dimitti debet ob delicta de quibus in cann. 1397, 1398 et 1395, nisi in delictis, de quibus inCan. 1395, §2, Superior censeat dimissionem non esse omnino necessariam et emendationi sodalis atque restitutioni iustitiae et reparationi scandali satis alio modo consuli posse.
제 695 조 ① 회원은 제1397조, 제1398조 및 제1395조에 언급된 범죄로 인하여 제명되어야 한다. 다만 제1395조 제2항에 언급된 범죄의 경우에, 제명이 전혀 불필요하고 그 회원의 교정과 정의의 회복과 추문의 보상이 다른 형태로 충분히 강구될 수 있다고 장상이 판단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Hisce in casibus, Superior maior, collectis probationibus circa facta et imputabilitatem, sodali dimittendo accusationem atque probationes significet, data eidem facultate sese defendendi. Acta omnia a Superiore maiore et a notario subscripta, una cum responsionibus sodalis scripto redactis et ab ipso sodale subscriptis, supremo Moderatori transmittantur.
② 이러한 경우, 상급 장상은 그 사실과 죄책에 관한 증거를 모은 후, 제명할 회원에게 자기 자신을 변호할 권한을 주면서 고발과 증거를 알려 주어야 한다. 상급 장상과 공증관이 서명한 모든 조서 기록과 그 회원이 서면으로 작성하고 몸소 서명한 답변을 총원장에게 보내야 한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