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I DE POPULO DEI

교회 교리서
Pars III DE INSTITUTIS VITAE CONSECRATAE ET DE SOCIETATIBUS VITAE APOSTOLICAE SECTIO I DE INSTITUTIS VITAE CONSECRATAE TITULUS II DE INSTITUTIS RELIGIOSIS
교회 교리서

Art. 3 DE DIMISSIONE SODALIUM

제 3 관 회원의 제명

Can. 694 - §1. Ipso facto dimissus ab instituto habendus est sodalis qui:
1) a fide catholica notorie defecerit;
2) matrimonium contraxerit vel, etiam civiliter tantum, attentaverit;
3) a domo religiosa illegitime absens fuerit, secundum can. 665 § 2, duodecim continuos menses, prae oculis habita eiusdem sodalis irreperibilitate.
제 694 조 ① 그 사실 자체로 회에서 제명된 자로 간주되어야 하는 회원은 다음과 같다.
1. 가톨릭 신앙에서 공공연하게 떠난 자.
2. 혼인을 맺었거나 국법상만으로라도 혼인을 시도한 자.
3. 제665조 제2항에 따라, 현재 소재 불명 상태로 12개월 동안 계속 불법적으로 수도원을 떠난 자.
§2. His in casibus Superior maior cum suo consilio, nulla mora interposita, collectis probationibus, declarationem facti emittat, ut iuridice constet de dimissione.
② 이러한 경우에, 상급 장상은 평의회와 더불어 지체 없이 증거를 모은 후 그 사실에 대한 선언을 내려 제명이 법적으로 확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3. In casu de quo in § 1 n. 3, talis declaratio ut iuridice constet, a Sancta Sede confirmari debet; quod ad instituta iuris dioecesani attinet, confirmatio ad principis Sedis Episcopum spectat.
③ 위 제1항 제3호의 경우에, 이 선언이 법적으로 확정되려면 성좌의 추인을 받아야 한다. 교구 설립 수도회의 경우 이 추인은 본원 소재지의 주교의 소임이다.
Can. 695 - §1. Sodalis dimitti debet ob delicta de quibus in cann. 1397, 1398 et 1395, nisi in delictis, de quibus inCan. 1395, §2, Superior censeat dimissionem non esse omnino necessariam et emendationi sodalis atque restitutioni iustitiae et reparationi scandali satis alio modo consuli posse.
제 695 조 ① 회원은 제1397조, 제1398조 및 제1395조에 언급된 범죄로 인하여 제명되어야 한다. 다만 제1395조 제2항에 언급된 범죄의 경우에, 제명이 전혀 불필요하고 그 회원의 교정과 정의의 회복과 추문의 보상이 다른 형태로 충분히 강구될 수 있다고 장상이 판단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Hisce in casibus, Superior maior, collectis probationibus circa facta et imputabilitatem, sodali dimittendo accusationem atque probationes significet, data eidem facultate sese defendendi. Acta omnia a Superiore maiore et a notario subscripta, una cum responsionibus sodalis scripto redactis et ab ipso sodale subscriptis, supremo Moderatori transmittantur.
② 이러한 경우, 상급 장상은 그 사실과 죄책에 관한 증거를 모은 후, 제명할 회원에게 자기 자신을 변호할 권한을 주면서 고발과 증거를 알려 주어야 한다. 상급 장상과 공증관이 서명한 모든 조서 기록과 그 회원이 서면으로 작성하고 몸소 서명한 답변을 총원장에게 보내야 한다.
Can. 696 - §1. Sodalis dimitti etiam potest ob alias causas, dummodo sint graves, externae, imputabiles et iuridice comprobatae, uti sunt: habitualis neglectus obligationum vitae consecratae; iteratae violationes sacrorum vinculorum; pertinax inoboedientia legitimis praescriptis Superiorum in materia gravi; grave scandalum ex culpabili modo agendi sodalis ortum; pertinax sustentatio vel diffusio doctrinarum ab Ecclesiae magisterio damnatarum; publica adhaesio ideologiis materialismo vel atheismo infectis; illegitima absentia, de qua inCan. 665, §2, per semestre protracta; aliae causae similis gravitatis iure proprio instituti forte determinatae.
제 696 조 ① 회원은 중대하고 외적이며 죄책이 있고 법적으로 확증되는 경우에만 다른 이유들, 예를 들면, 봉헌 생활의 의무에 대한 상습적 태만, 거룩한 유대에 대한 반복된 위반, 중대한 사안에 있어서 장상의 합법적 명령에 대한 완강한 불순명, 회원의 죄책 있는 행동 양식으로 야기된 중대한 추문,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단죄된 학설에 대한 완고한 지지 또는 전파, 유물론이나 무신론에 물든 이념에의 공개적인 추종, 제665조 제2항에 언급된 불법적 부재가 6개월간 지속되는 때, 그 밖에 그 회의 고유법으로 규정된 이와 비슷한 중대한 이유들 때문에도 제명될 수 있다.
§2. Ad dimissionem sodalis a votis temporariis, etiam causae minoris gravitatis in iure proprio statutae sufficiunt.
② 유기 서원을 한 회원의 제명은 고유법으로 정하여진 덜 중대한 이유들이라도 충분하다.
Can. 697 - In casibus de quibus inCan. 696, si Superior maior, audito suo consilio, censuerit processum dimissionis esse inchoandum:
제 697 조 제696조에 언급된 경우에, 상급 장상이 평의회의 의견을 듣고 제명 처분의 절차를 착수하여야 한다고 여기면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1. probationes colligat vel compleat;
1. 증거를 모으거나 보완하여야 한다.
2. sodalem scripto vel coram duobus testibus moneat cum explicita comminatione subsecuturae dimissionis nisi resipiscat, clare significata causa dimissionis et data sodali plena facultate sese defendendi quod si monitio incassum cedat, ad alteram monitionem, spatio saltem quindecim dierum interposito, procedat;
2, 서면으로나 2명의 증인들 앞에서 그 회원에게 제명의 이유를 분명히 알려 주고 자기 자신을 변호할 권한을 온전히 주고서, 개심하지 아니하면 제명이 뒤따를 것임을 명백히 위협하면서 경고하여야 한다. 만일 경고가 헛되이 지나면 적어도 15일의 간격을 두고 두 번째 경고를 진행하여야 한다.
3. si haec quoque monitio incassum ceciderit et Superior maior cum suo consiio censuerit de incorrigibiitate satis constare et defensiones sodalis insufficientes esse, post quindecim dies ab ultima monitione frustra elapsos, acta omnia ab ipso Superiore maiore et a notario subscripta una cum responsionibus sodalis ab ipso sodale subscriptis supremo Moderatori transmittat.
3. 두 번째 경고도 헛되이 지나고, 상급 장상이 평의회와 함께 교정 불가능이 충분히 확인되고 그 회원의 변호도 불충분하다고 여기면, 마지막 경고로부터 15일이 헛되이 지난 후, 상급 장상과 공증관이 서명한 모든 조서 기록과 아울러 그 회원이 몸소 서명한 답변을 총원장에게 보내야 한다.
Can. 698 - In omnibus casibus, de quibus in cann. 695 et 696, firmum semper manet ius sodalis cum supremo Moderatore communicandi et iii directe suas defensiones exhibendi.
제 698 조 제695조와 제696조에 언급된 모든 경우에 그 회원은 총원장과 연락을 가지고 그에게 직접 자기 방어를 제시할 권리를 언제나 보존한다.
Can. 699 - §1. Supremus Moderator cum suo consilio, quod ad validitatem saltem quattuor membris constare debet, collegialiter procedat ad probationes, argumenta et defensiones accurate perpendenda, et si per secretam suffragationem id decisum fuerit, decretum dimissionis ferat, expressis ad validitatem saltem summarie motivis in iure et in facto.
제 699 조 ① 총원장은 적어도 4명으로 구성되어야 유효한 평의회와 함께 증거, 논증, 변호를 정확하게 심사 숙고하기 위하여 합의체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비밀 투표를 통하여 결정이 되었으면, 유효성을 위하여 법률상 및 사실상의 동기 이유를 요약하여서라도 명시하면서 제명의 교령을 내려야 한다.
§2. In monasteriis sui iuris, de quibus in can. 615, dimissionem sodalis professi decernere pertinet ad Superiorem Maiorem, de consensu eius Consilii.
② 제615조에 언급된 자치 수도승원에서는 선서한 회원의 제명을 판정하는 것은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총원장에게 속한다.
Can. 700 - Decretum dimissionis in sodalem professum latum vim habet simul ac ei, cuius interest, notificatur. Decretum vero, ut valeat, indicare debet ius, quo religious dimissus gaudet, recurrendi intra decem dies a recepta notificatione ad auctoritatem competentem. Recursus effectum habet suspensivum.
제 700 조 선서한 회원에게 내려진 제명의 교령은 이해 당사자에게 통지되는 때에 효력을 가진다. 교령이 유효하려면 제명된 수도자가 통지를 받은 지 10일 이내에 관할권자에게 소원할 권리가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소원은 집행 정지의 효과를 낸다.
Can. 701 - Legitima dimissione ipso facto cessant vota necnon iura et obligationes ex professione promanantia. Si tamen sodalis sit clericus, sacros ordines exercere nequit, donec Episcopum inveniat qui eum post congruam probationem in dioecesi, ad normamCan. 693, recipiat vel saltem exercitium sacrorum ordinum permittat.
제 701 조 합법적 제명으로써 서원뿐 아니라 선서에서 생긴 권리와 의무도 그 사실 자체로 끝난다. 그 회원이 성직자이면, 제693조 규범에 따라 적당한 시험기 후에 그를 교구에 받아들이거나 적어도 성품의 행사를 허용하는 주교를 찾을 때까지 성품을 행사할 수 없다.
Can. 702 - §1. Qui ex instituto religioso legitime egrediantur vel ab eo legitime dimissi fuerint, nihil ab eo eodem repetere possunt ob quamlibet operam in eo praestitam.
제 702 조 ① 수도회에서 합법적으로 나갔거나 합법적으로 제명된 자는 그 수도회에서 행한 어떠한 사업 활동에 대하여서든지 수도회에 아무 대가도 요구할 수 없다.
§2. Institutum tamen aequitatem et evangelicam caritatem servet erga sodalem, qui ab eo separatur.
② 그러나 회는 회를 떠나는 회원에게 공평과 복음적 애덕을 지켜야 한다.
Can. 703 - In casu gravis scandali exteritoris vel gravissimi nocumenti instituto imminentis, sodalis statim a Superiore maiore vel, si periculum sit in mora, a Superiore locali cum consensu sui consilii e domo religiosa eici potest. Superior maior, si opus sit, dimissionis processum ad normam iuris instituendum curet, aut rem Sedi Apostolicae deferat.
제 703 조 중대한 외적 추문이나 지극히 중대한 손해가 회에 임박한 경우에는 그 회원이 상급 장상에 의하여, 또는 지체하면 위험하게 되는 경우에는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그 지역 장상에 의하여 즉시 수도원에서 추방될 수 있다. 상급 장상은 필요하다면 법규범에 따라 제명 처분의 절차를 밟게 하거나 또는 이 사실을 사도좌에 이송하여야 한다.
Can. 704 - De sodalibus, qui ab instituto sunt quoquo modo separati, fiat mentio in relatione Sedi Apostolicae mittenda, de qua inCan. 592, §1.
제 704 조 어떤 양식으로든지 회를 떠난 회원들에 대하여 제592조 제1항에 언급된 사도좌에 제출할 보고서에 언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