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I DE BAPTISMO
교회 교리서

CAPUT IV DE PATRINIS

제 4 절 대부모

Can. 872 - Baptizando, quantum fieri potest, detur patrinus, cuius est baptizando adulto in initiatione christiana adstare, et baptizandum infantem una cum parentibus ad baptismum praesentare itemque operam dare ut baptizatus vitam christianam baptismo congruam ducat obligationesque eidem inhaerentes fideliter adimpleat.
제 872 조 세례 받을 이에게 될 수 있는 대로 대부모를 정해 주어야 한다. 대부모의 소임은 세례 받을 어른을 그리스도교 입문 때 도와 주고, 세례 받을 아기를 부모와 함께 세례에 데려가며 또한 세례 받은 이가 세례에 맞갖은 그리스도교인 생활을 하고 이에 결부된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돕는 것이다.
Can. 873 - Patrinus unus tantum vel matrina una vel etiam unus et una assumantur.
제 873 조 대부 한 명만 또는 대모 한 명만 또는 대부와 대모 한 명씩만 두어야 한다.
Can. 874 - §1. Ut quis ad munus patrini suscipiendum admittatur, oportet:
제 874 조 ① 대부모의 임무를 맡도록 허가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1. ab ipso baptizando eiusve parentibus aut ab eo qui eorum locum tenet aut, his deficientibus, a parocho vel ministro sit designatus atque aptitudinem et intentionem habeat hoc munus gerendi;
1. 세례 받을 본인이나 그의 부모 또는 그들을 대신하는 이, 또는 이들 이 없으면, 본당 사목구 주임이나 집전자에 의하여 지정되고 이 임무를 수행할 적성과 의향을 가져야 한다.
2. decimum sextum aetatis annum expleverit, nisi alia aetas ab Episcopo dioecesano statuta fuerit vel exceptio iusta de causa parocho aut ministro admittenda videatur;
2. 16세를 채워야 한다. 다만 교구장 주교가 나이를 달리 정하였거나 또는 본당 사목구 주임이나 집전자가 정당한 이유로 예외로 허가하여야 한다고 여기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3. sit catholicus, confirmatus et sanctissimum Eucharistiae sacramentum iam receperit, idemque vitam ducat fidei et muneri suscipiendo congruam;
3. 가톨릭 신자로서 견진과 지성한 성찬(성체)의 성사를 이미 받았고 신앙과 맡을 임무에 맞갖은 생활을 하여야 한다.
4. nulla poena canonica legitime irrogata vel declarata sit innodatus;
4. 합법적으로 부과되거나 선언된 교회법적 형벌로 제재받지 아니하여 야 한다.
5 non sit pater aut mater baptizandi.
5. 세례 받을 이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아니어야 한다.
§2. Baptizatus ad communitatem ecclesialem non catholicam pertinens, nonnisi una cum patrino catholico, et quidem ut testis tantum baptismi, admittatur.
② 비가톨릭 교회 공동체에 속하는 영세자는 오직 가톨릭 신자 대부모와 함께 그나마도 세례의 증인으로서만 허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