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IV DE SACRAMENTO PAENITENTIAE
교회 교리서

CAPUT II

제 2 절 고해성사의 집전자

Can. 965 - Minister sacramenti paenitentiae est solus sacerdos.
제 965 조 고해성사의 집전자는 사제뿐이다.
Can. 966 - §1. Ad validam peccatorum absolutionem requiritur ut minister, praeterquam potestate ordinis, facultate gaudeat eandem in fideles, quibus absolutionem impertitur, exercendi.
제 966 조 ① 죄에 대한 사죄가 유효하려면 집전자가 성품권 외에도 사죄를 베푸는 신자들에 대하여 이를 행사할 특별 권한이 있어야 한다.
§2. Hac facultate donari potest sacerdos, sive ipso iure sive concessione ab auctoritate competenti facta ad normamCan. 969.
② 사제는 이 특별 권한을 법 자체로나 또는 제969조의 규범에 따른 관할권자의 수여로 받을 수 있다.
Can. 967 - §1. Praeter Romamum Pontificem, facultate christifidelium ubique terrarum confessiones excipiendi ipso iure gaudent Cardinales itemque Episcopi, qui eadem et licite ubique utuntur, nisi Episcopus dioecesanus in casu particulari renuerit.
제 967 조 ① 교황 외에 추기경들도 세계 어디서나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이 법 자체로 있다. 주교들도 같은 특별 권한을 어디서나 적법하게 행사할 수 있으나, 다만 교구장 주교가 거부하는 개별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Qui facultate confessiones habitualiter excipiendi gaudent sive vi officii sive vi concessionis Ordinarii loci incardinationis aut loci in quo domicilium habent, eadem facultatem ubique exercere possunt, nisi loci Ordinarius in casu particulari renuerit, firmis praescriptisCan. 974, §§2 et 3.
② 고백을 늘(상시적으로) 들을 특별 권한을 직무상으로나 또는 입적지나 주소 소재지의 직권자의 수여로써 가지는 자는 그 특별 권한을 어디서나 행사할 수 있으나, 다만 교구 직권자가 거부하는 개별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또 제974조 제2항과 제3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3. Ipso iure eadem facultate ubique potiuntur erga sodales aliosque in domo instituti aut societatis diu noctuque degentes, qui vi officii aut concessionis Superioris competentis ad normam cann. 968, §2 et 969, §2 facultate confessiones excipiendi sunt instructi; qui quidem eadem et licite utuntur, nisi aliquis Superior maior quoad proprios subditos in casu particulari renuerit.
③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직무상으로나 또는 제968조 제2항과 제969조 제2항의 규범에 따른 관할 장상의 수여로써 받은 자는, 그 회원들 및 그 (수도)회나 단의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에 대하여도 그 특별 권한을 법 자체로 어디서나 가진다. 그는 그것을 적법하게 행사할 수 있으나 다만 어떤 상급 장상이 자기 소속자들에 대하여 거부하는 개별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968 - §1. Vi officii pro sua quisque dicione facultate ad confessiones excipiendas gaudent loci Ordinarius, canonicus paenitentiarius, itemque parochus aliique qui loco parochi sunt.
제 968 조 ① 교구 직권자와 고해 담당 의전 사제 및 본당 사목구 주임과 그 밖의 사목구 주임의 대행자들은 직무상 각각 자기 구역에서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가진다.
§2. Vi officii facultate gaudent confessiones excipiendi suorum subditorum aliorumque, in domo diu noctuque degentium, Superiores instituti religiosi aut societatis vitae apostolicae, si sint clericales iuris pontificii, ad normam constitutionum potestate regiminis exsecutiva fruentes, firmo tamen praescriptoCan. 630, §4.
② 수도회나 사도 생활단이 성좌 설립의 성직자회나 단이라면 회헌 규범에 따라 통치 집행권을 가지는 그 회나 단의 장상들은 자기 소속자들 및 그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의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직무상 가진다. 다만 제630조 제4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Can. 969 - §1. Solus loci Ordinarius competens est qui facultatem ad confessiones quorumlibet fidelium excipiendas conferat presbyteris quibuslibet; presbyteri autem qui sodales sunt institutorum religiosorum, eadem ne utantur sine licentia saltem praesumpta sui Superioris.
제 969 조 ① 교구 직권자만이 어느 신자들의 고백이라도 들을 특별 권한을 어느 탁덕들에게든지 수여할 권한이 있다. 다만 수도회원들인 탁덕들은 소속 장상의 적어도 추정되는 허가 없이는 그 특별 권한을 행사하지 말아야 한다.
§2. Superior instituti religiosi aut societatis vitae apostolicae, de quo inCan. 968, §2, competens est qui facultatem ad excipiendas confessiones suorum subditorum aliorumque in domo diu noctuque degentium presbyteris quibuslibet conferat.
② 제968조 제2항에 언급된 수도회나 사도 생활단의 장상은 자기 소속자들 및 그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의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어떤 탁덕들에게든지 수여할 권한이 있다.
Can. 970 - Facultas ad confessiones excipiendas ne concedatur nisi presbyteris qui idonei per examen reperti fuerint, aut de eorum idoneitate aliunde constet.
제 970 조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은 심사를 통하여 적격자로 인정되었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그 적격성이 확증된 탁덕들이 아닌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한다.
Can. 971 - Facultatem ad excipiendas habitualiter confessiones loci Ordinarius presbytero, etsi domicilium vel quasi-domicilium in sua dicione habenti, ne concedat, nisi prius, quantum fieri potest, audito eiusdem presbyteri Ordinario.
제 971 조 교구 직권자는 자기 구역 내에 주소나 준주소를 가지고 있는 탁덕이라도 될 수 있는 대로 먼저 그 탁덕의 직권자의 의견을 듣지 아니하는 한 고백을 늘(상시적으로) 들을 특별 권한을 수여하지 말아야 한다.
Can. 972 - Facultas ad confessiones excipiendas a competenti auctoritate, de qua inCan. 969, concedi potest ad tempus sive indeterminatum sive determinatum.
제 972 조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은 제969조에 언급된 관할권자에 의하여 무기한으로나 기한부로나 수여될 수 있다.
Can. 973 - Facultas ad confessiones habitualiter excipiendas scripto concedatur.
제 973 조 고백을 늘(상시적으로) 들을 특별 권한은 서면으로 수여되어야 한다.
Can. 974 - §1. Loci Ordinarius, itemque Superior competens, facultatem ad confessiones excipiendas habitualiter concessam ne revocet nisi gravem ob causam.
제 974 조 ① 교구 직권자와 관할 장상은 이미 수여된 고백을 늘(상시적으로) 들을 특별 권한을 중대한 이유가 없는 한 취소하지 말아야 한다.
§2. Revocata facultate ad confessiones excipiendas a loci Ordinario qui eam concessit, de quo inCan. 967, §2, presbyter eandem facultatem ubique amittit; revocata eadem facultate ab alio loci Ordinario, eandem amittit tantum in territorio revocantis.
②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제967조 제2항에 언급된 대로 수여하였던 교구 직권자에 의하여 이 특별 권한이 취소되면 그 탁덕은 그 특별 권한을 어디서나 상실한다. 그 특별 권한이 다른 교구 직권자에 의하여 취소되면 취소한 자의 구역 안에서만 이를 상실한다.
§3. Quiibet loci Ordinarius qui alicui presbytero revocaverit facultatem ad confessiones excipiendas, certiorem reddat Ordinarium qui ratione incardinationis est presbyteri proprius, aut, si agatur de sodali instituti religiosi, eiusdem competentem Superiorem.
③ 어떤 교구 직권자든지 어떤 탁덕에 대하여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취소한 경우에는 그 탁덕이 입적되어 있는 소속 직권자에게 또는 그가 수도회의 회원이라면 그의 관할 장상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4. Revocata facultate ad confessiones excipiendas a proprio Superiore maiore, facultatem ad excipiendas confessiones ubique erga sodales instituti amittit presbyter; revocata autem eadem facultate ab alio Superiore competenti, eandem amittit erga solos in eiusdem dicione subditos.
④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이 소속 상급 장상에 의하여 취소되면 그 탁덕은 그 회의 회원들에 대하여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을 어디서나 상실한다. 그 특별 권한이 다른 관할 장상에 의하여 취소되면 그의 구역 안의 소속자들에 대하여서만 이를 상실한다.
Can. 975 - Praeterquam revocatione, facultas de qua inCan. 967, §2 cessat amissione officii vel excardinatione aut amissione domicilii.
제 975 조 제967조 제2항에 언급된 특별 권한은 취소뿐 아니라 직무의 상실이나 제적이나 주소의 상실에 의하여서도 끝난다.
Can. 976 - Quilibet sacerdos, licet ad confessiones excipiendas facultate careat, quoslibet paenitentes in periculo mortis versantes valide et licite absolvit a quibusvis censuris et peccatis, etiamsi praesens sit sacerdos approbatus.
제 976 조 죽을 위험 중에 있는 어느 참회자들에게든지 어느 사제든지 비록 고백을 들을 특별 권한이 없더라도 또 인가된 사제가 그 자리에 있더라도 어떤 교정벌이나 죄라도 유효하고 적법하게 사죄할 수 있다.
Can. 977 - Absolutio complicis in peccato contra sextum Decalogi praeceptum invalida est, praeterquam in periculo mortis.
제 977 조 십계명 중 제6계명을 거스른 죄의 공범자에 대한 사죄는 죽을 위험 중 외에는 무효다.
Can. 978 - §1. Meminerit sacerdos in audiendis confessionibus se iudicis pariter et medici personam sustinere ac divinae iustitiae simul et misericordiae ministrum a Deo constitutum esse, ut honori divino et animarum saluti consulat.
제 978 조 ① 사제는 고백을 듣는 때 자기가 재판관이자 의사로서 행동한다는 것과 또한 하느님의 영광과 영혼의 구원에 이바지하도록 하느님의 정의와 자비의 교역자로서 하느님께로부터 임명된 자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2. Confessarius, utpote minister Ecclesiae, in administrando sacramento, doctrinae Magisterii et normis a competenti auctoritate latis fideliter adhaereat.
② 고해 사제는 성사를 집전하는 때 교회의 교역자로서 교도권의 가르침과 관할권자가 정한 규범을 충실히 따라야 한다.
Can. 979 - Sacerdos in quaestionibus ponendis cum prudentia et discretione procedat, attenta quidem condicione et aetate paenitentis, abstineatque a nomine complicis inquirendo.
제 979 조 사제는 질문을 할 때 참회자의 여건과 연령에 유의하여 신중하고 분별 있게 진행하여야 하고, 공범자의 이름을 묻는 것은 삼가야 한다.
Can. 980 - Si confessario dubium non est de paenitentis dispositione et hic absolutionem petat, absolutio ne denegetur nec differatur.
제 980 조 고해 사제는 사죄를 청하는 참회자의 마음 자세에 대하여 의심이 없으면 사죄를 거부하거나 연기하지 말아야 한다.
Can. 981 - Pro qualitate et numero peccatorum, habita tamen ratione paenitentis condicionis, salutares et convenientes satisfactiones confessarius iniungat; quas paenitens per se ipse implendi obligatione tenetur.
제 981 조 고해 사제는 참회자의 여건을 유의하여 죄의 질과 양에 따라 유익하고 적당한 보속을 부과하여야 한다. 보속은 참회자 본인이 몸소 이행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Can. 982 - Qui confitetur se falso confessarium innocentem apud auctoritatem ecclesiasticam denuntiasse de crimine sollicitationis ad peccatum contra sextum Decalogi praeceptum, ne absolvatur nisi prius falsam denuntiationem formaliter retractaverit et paratus sit ad damna, si quae habeantur, reparanda.
제 982 조 무죄한 고해 사제를 교회 권위에게 십계명 중 제6계명을 거스른 죄로 유혹한 범죄를 걸어 허위로 고소하였음을 고백하는 자에게는, 먼저 허위 고소를 정식으로 철회하고 아울러 손해를 입혔다면 이를 보상할 자세가 되어 있지 아니하는 한, 사죄하지 말아야 한다.
Can. 983 - §1. Sacramentale sigillum inviolabile est; quare nefas est confessario verbis vel alio quovis et quavis modo de causa aliquatenus prodere paenitentem.
제 983 조 ① 고해성사의 비밀 봉인은 불가침이다. 따라서 고해 사제는 말로나 다른 어떠한 방식으로도 그리고 어떤 이유로도 참회자를 조금도 발설하여서는 안 된다.
§2. Obligatione secretum servandi tenentur quoque interpres, si detur, necnon omnes alii ad quos ex confessione notitia peccatorum quoquo modo pervenerit.
② 통역자가 있으면 그도, 또한 고백에서 죄의 정보가 어떤 방식으로든지 알려진 그 밖의 다른 모든 이들도 비밀을 지킬 의무가 있다.
Can. 984 - §1. Omnino confessario prohibetur scientiae ex confessione acquisitae usus cum paenitentis gravamine, etiam quovis revelationis periculo excluso.
제 984 조 ① 고해 사제는 고백에서 얻은 지식을 참회자에게 해롭게 사용하는 것은 누설의 위험이 전혀 배제되더라도 절대로 금지된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