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V
교회 교리서

TITULUS V

제 6 장 성품성사

Can. 1008 - Sacramento ordinis ex divina institutione inter christifideles quidam, charactere indelebili quo signantur, constituuntur sacri ministri, qui nempe consecrantur et deputantur ut, pro suo quisque gradu, novo et peculiari titulo Dei populo inserviant.
제 1008 조 그리스도교 신자들 중의 어떤 이들은 하느님의 제정에 의한 성품성사로써 불멸의 인호가 새겨지고 거룩한 교역자들로 선임되어, 각자 자기 직분에 따라 새로운 특별 명의로 하느님의 백성을 돌보도록 축성되고 임명된다.
Can. 1009 - §1. Ordines sunt episcopatus, presbyteratus et diaconatus.
제 1009 조 ① 성품은 주교품과 탁덕품 및 부제품이다.
§2. Conferuntur manuum impositione et precatione consecratoria, quam pro singulis gradibus libri liturgici praescribunt.
② 성품은 안수와 아울러 각 계층별로 전례서가 규정한 축성 기도로 수여된다.
§3. Qui constituti sunt in ordine episcopatus aut presbyteratus missionem et facultatem agendi in persona Christi Capitis accipiunt, diaconi vero vim populo Dei serviendi in diaconia liturgiae, verbi et caritatis.
③ 주교품이나 탁덕품에 세워진 이들은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행동할 사명과 권한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부제들은 전례와 말씀과 애덕의 봉사로 하느님 백성을 돌보는 힘을 받는다.

CAPUT I DE ORDINATIONIS CELEBRATIONEET MINISTRO

제 1 절 서품식 거행과 집전자

Can. 1010 - Ordinatio intra Missarum sollemnia celebretur, die dominico vel festo de praecepto, sed ob rationes pastorales aliis etiam diebus, ferialibus non exceptis, fieri potest.
제 1010 조 서품식은 주일이나 의무 축일에 장엄 미사 중에 거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목상 이유가 있으면 다른 날에 평일에도 거행될 수 있다.
Can. 1011 - §1. Ordinatio generaliter in cathedrali ecclesia celebretur; ob rationes tamen pastorales in alia ecclesia aut oratorio celebrari potest.
제 1011 조 ① 서품식은 일반적으로 주교좌 성당에서 거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목상 이유가 있으면 다른 성당이나 경당에서도 거행될 수 있다.
§2. Ad ordinationem invitandi sunt clerici aliique christifideles, ut quam maxima frequentia celebrationi intersint.
② 서품식에는 최대한 많은 회중이 참석하도록 성직자들과 그 밖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초대되어야 한다.
Can. 1012 - Sacrae ordinationis minister est Episcopus consecratus.
제 1012 조 거룩한 서품식의 집전자는 축성된 주교이다.
Can. 1013 - Nulli Episcopo licet quemquam consecrare in Episcopum, nisi prius constet de pontificio mandato.
제 1013 조 아무 주교도 먼저 성좌의 위임이 확인되지 아니하는 한 어느 누구든지 주교로 축성할 수 없다.
Can. 1014 - Nisi Sedis Apostolicae dispensatio intercesserit, Episcopus consecrator principalis in consecratione episcopali duos saltem Episcopos consecrantes sibi adiungat; valde convenit autem, ut una cum iisdem omnes Episcopi praesentes electum consecrent.
제 1014 조 주교 축성식에서는 사도좌의 관면이 없는 한 축성 주례 주교는 적어도 두 명의 축성 주교들과 함께 거행하여야 한다. 축성식에 참석한 모든 주교들이 이들과 함께 주교 피선자를 축성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Can. 1015 - §1. Unusquisque ad presbyteratum et ad diaconatum a proprio Episcopo ordinetur aut cum legitimis eiusdem litteris dimissoriis.
제 1015 조 ① 각 (후보)자는 소속 주교에 의하여 또는 그의 합법적인 수품 허가서에 의하여 탁덕품이나 부제품에 서품된다.
§2. Episcopus proprius, iusta de causa non impeditus, per se ipse suos subditos ordinet; sed subditum orientalis ritus, sine apostolico indulto, licite ordinare non potest.
② 소속 주교는 정당한 이유로 방해받지 아니하는 한 몸소 자기 소속자들을 서품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도좌의 윤허 없이는 동방 예법에 속하는 소속자를 적법하게 서품할 수 없다.
§3. Qui potest litteras dimissorias ad ordines recipiendos dare, potest quoque eosdem ordines per se ipse conferre, si charactere episcopali polleat.
③ 성품을 받을 허가서를 줄 수 있는 자가 주교 인호가 새겨져 있으면 몸소 그 성품을 줄 수도 있다.
Can. 1016 - Episcopus proprius, quod attinet ad ordinationem diaconalem eorum qui clero saeculari se adscribi intendant, est Episcopus dioecesis, in qua promovendus habet domiciium, aut dioecesis cui promovendus sese devovere statuit; quod attinet ad ordinationem presbyteralem clericorum saecularium, est Episcopus dioecesis, cui promovendus per diaconatum est incardinatus.
제 1016 조 소속 주교는 재속 성직자로 입적되고자 하는 자들의 부제 서품에 관하여는 수품 후보자가 주소를 둔 교구 또는 그가 헌신하기로 정한 교구의 주교이고 재속 성직자들의 탁덕 서품에 관하여서는 수품 후보자가 부제품으로써 입적된 교구의 주교이다.
Can. 1017 - Episcopus extra propriam dicionem nonnisi cum licentia Episcopi dioecesani ordines conferre potest.
제 1017 조 주교는 자기 관할 구역 밖에서는 그 곳 교구장 주교의 허가가 있어야만 성품을 수여할 수 있다.
Can. 1018 - §1. Litteras dimissorias pro saecularibus dare possunt:
제 1018 조 ① 재속 성직자들에게 수품 허가서를 줄 수 있는 이들은 다음과 같다.
1. Episcopus proprius, de quo in Can. 1016;
1. 제1016조에 언급된 소속 주교.
2. Administrator apostolicus atque, de consensu collegii consultorum, Administrator dioecesanus; de consensu consiii, de quo inCan. 495, §2, Pro-vicarius et Pro-praefectus apostolicus.
2. 교구장 서리 및 참사회의 동의를 얻은 교구장 직무 대행 그리고 제 495조 제2항에 언급된 평의회의 동의를 얻은 대목구장 직무 대행과 지목구장 직무 대행.
§2. Administrator dioecesanus, Pro-vicarius et Pro-praefectus apostolicus litteras dimissorias ne iis concedant, quibus ab Episcopo dioecesano aut a Vicario vel Praefecto apostolico accessus ad ordines denegatus fuerit.
② 교구장 직무 대행과 대목구장 직무 대행 및 지목구장 직무 대행은 교구장 주교나 대목구장 또는 지목구장이 서품을 거부한 자들에게는 수품 허가서를 주지 말아야 한다.
Can. 1019 - §1. Superiori maiori instituti religiosi clericalis iuris pontificii aut societatis clericalis vitae apostolicae iuris pontificii competit ut suis subditis, iuxta constitutiones perpetuo vel definitive instituto aut societati adscriptis, concedat litteras dimissorias ad diaconatum et ad presbyteratum.
제 1019 조 ① 성좌 설립 성직자 수도회 또는 성좌 설립 성직자 사도 생활단의 상급 장상은 회헌에 따라 회나 단에 종신 혹은 확정적으로 등록된 자기 소속자들에게 부제품과 탁덕품의 수품 허가서를 줄 권한이 있다.
§2. Ordinatio ceterorum omnium alumnorum cuiusvis instituti aut societatis regitur iure clericorum saecularium, revocato quolibet indulto Superioribus concesso.
② 어느 회나 단이든지 그 밖의 모든 학생들의 서품은 재속 성직자의 법으로 규제되고 장상들에게 부여된 어느 윤허든지 취소된다.
Can. 1020 - Litterae dimissoriae ne concedantur, nisi habitis antea omnibus testimoniis et documentis, quae iure exiguntur ad norma cann. 1050 et 1051.
제 1020 조 수품 허가서는 제1050조와 제1051조의 규범에 따라 법률상 요구되는 모든 증명서와 서류가 먼저 구비되지 아니하는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한다.
Can. 1021 - Litterae dimissoriae mitti possunt ad quemlibet Episcopum communionem cum Sede Apostolica habentem, excepto tantum, citra apostolicum indultum, Episcopo ritus diversi a ritu promovendi.
제 1021 조 수품 허가서는 사도좌와 친교를 가진 어느 주교에게든지 송부될 수 있다. 다만 수품 후보자가 속하는 예법과 다른 예법의 주교에게는 사도좌의 윤허 없이는 아니 된다.
Can. 1022 - Episcopus ordinans, acceptis legitimis litteris dimissoriis, ad ordinationem ne procedat, nisi de germana litterarum fide plane constet.
제 1022 조 서품하는 주교는 합법적인 수품 허가서를 받고서 그 문서의 진정성을 확인하지 아니하는 한 서품식을 진행하지 말아야 한다.
Can. 1023 - Litterae dimissoriae possunt ab ipso concedente aut ab eius successore limitibus circumscribi aut revocari, sed semel concessae non extinguuntur resoluto iure concedentis.
제 1023 조 수품 허가서는 수여자 본인이나 그의 후계자가 제한을 가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수여된 수품 허가서는 수여자의 권리가 해제되어도 소멸되지 아니한다.

CAPUT II DE ORDINANDIS

제 2 절 수품 후보자

Can. 1024 - Sacram ordinationem valide recipit solus vir baptizatus.
제 1024 조 세례 받은 남자만이 (거룩한) 서품을 유효하게 받는다.
Can. 1025 - §1. Ad licite ordines presbyteratus vel diaconatus conferendos requiritur ut candidatus, probatione ad normam iuris peracta, debitis qualitatibus, iudicio proprii Episcopi aut Superioris maioris competentis, praeditus sit, nulla detineatur irregularitate nulloque impedimento, atque praerequisita, ad normam cann. 1033-1039 adimpleverit; praeterea documenta habeantur, de quibus in Can. 1050, atque scrutinium peractum sit, de quo inCan. 1051.
제 1025 조 ① 탁덕품이나 부제품을 적법하게 수여하기 위하여는, 후보자가 법규범에 따른 증명기를 거친 후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의 판단으로 합당한 자격이 있고 아무런 무자격과 장애도 없으며, 또 제1033-1039조의 규범에 따른 전제 요건들을 채워야 할 뿐 아니라 제1050조에 언급된 서류들이 구비되고 제1051조에 언급된 정밀 조사가 완료되어야 한다.
§2. Insuper requiritur ut, iudicio eiusdem legitimi Superioris, ad Ecclesiae ministerium utilis habeatur.
② 또한 합법적 장상의 판단으로 수품 후보자가 교회의 교역(직무)에 유용하다고 인정되어야 한다.
맨 처음이전 1 2 3 4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