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V
교회 교리서

CAPUT II DE ORDINANDIS

제 2 절 수품 후보자

Can. 1024 - Sacram ordinationem valide recipit solus vir baptizatus.
제 1024 조 세례 받은 남자만이 (거룩한) 서품을 유효하게 받는다.
Can. 1025 - §1. Ad licite ordines presbyteratus vel diaconatus conferendos requiritur ut candidatus, probatione ad normam iuris peracta, debitis qualitatibus, iudicio proprii Episcopi aut Superioris maioris competentis, praeditus sit, nulla detineatur irregularitate nulloque impedimento, atque praerequisita, ad normam cann. 1033-1039 adimpleverit; praeterea documenta habeantur, de quibus in Can. 1050, atque scrutinium peractum sit, de quo inCan. 1051.
제 1025 조 ① 탁덕품이나 부제품을 적법하게 수여하기 위하여는, 후보자가 법규범에 따른 증명기를 거친 후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의 판단으로 합당한 자격이 있고 아무런 무자격과 장애도 없으며, 또 제1033-1039조의 규범에 따른 전제 요건들을 채워야 할 뿐 아니라 제1050조에 언급된 서류들이 구비되고 제1051조에 언급된 정밀 조사가 완료되어야 한다.
§2. Insuper requiritur ut, iudicio eiusdem legitimi Superioris, ad Ecclesiae ministerium utilis habeatur.
② 또한 합법적 장상의 판단으로 수품 후보자가 교회의 교역(직무)에 유용하다고 인정되어야 한다.
§3. Episcopo ordinanti proprium subditum, qui servitio alius dioecesis destinetur, constare debet ordinandum huic dioecesi addictum iri.
③ 다른 교구에 봉사하도록 예정된 자기 소속자에게 서품하는 주교는 그 수품 후보자가 그 교구에 배속될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Art. 1 DE REQUISITISIN ORDINANDIS

제 1 관 수품 후보자의 요건

Can. 1026 - Ut quis ordinetur debita libertate gaudeat oportet; nefas est quemquam, quovis modo, ob quamlibet causam ad ordines recipiendos cogere, vel canonice idoneum ab iisdem recipiendis avertere.
제 1026 조 누구든지 서품을 받기 위하여는 합당한 자유가 있어야 한다. 어떤 이에게 어떤 방식이나 어떤 이유로든지 성품을 받도록 강제하거나 혹은 교회법상 적격자에게 성품을 받기를 단념시켜서는 안 된다.
Can. 1027 - Aspirantes ad diaconatum et presbyteratum accurata praeparatione efformentur, ad normam iuris.
제 1027 조 부제품과 탁덕품의 지원자는 법규범에 따른 정확한 준비로 양성되어야 한다.
Can. 1028 - Curet Episcopus dioecesanus aut Superior competens ut candidati, antequam ad ordinem aliquem promoveantur, rite edoceantur de iis, quae ad ordinem eiusque obligationes pertinent.
제 1028 조 교구장 주교나 관할 장상은 후보자들이 어떤 성품에 승격되기 전에 그 성품과 그 의무에 속하는 사항들에 대하여 올바로 교육받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Can. 1029 - Ad ordines ii soli promoveantur qui, prudenti iudicio Episcopi proprii aut Superioris maioris competentis, omnibus perpensis, integram habent fidem, recta moventur intentione, debita pollent scientia, bona gaudent existimatione, integris moribus probatisque virtutibus atque aliis qualitatibus physicis et psychicis ordini recipiendo congruentibus sunt praediti.
제 1029 조 모든 것을 심사숙고한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은 현명한 판단으로 온전한 신앙을 가지고 지향이 올바르며 합당한 지식을 갖추고 평판이 좋으며 품행이 바르고 덕행이 있으며 또한 받을 성품에 합당한 신체적 및 심리적 기타 자격들을 구비하고 있는 자들만이 성품에 승격되도록 해야 한다.
Can. 1030 - Nonnisi ex causa canonica, licet occulta, proprius Episcopus vel Superior maior competens diaconis ad presbyteratum destinatis, sibi subditis, ascensum ad presbyteratum interdicere potest, salvo recursu ad normam iuris.
제 1030 조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은 비록 은밀하더라도 교회법상 이유에 의하여서만 탁덕품에 예정된 자기 소속 부제들에게 탁덕품 승진을 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하여 법규범에 따라 소원할 수 있다.
Can. 1031 - §1. Presbyteratus ne conferatur nisi iis qui aetatis annum vigesimum quintum expleverint et sufficienti gaudeant maturitate, servato insuper intervallo sex saltem mensium inter diaconatum et presbyteratum; qui ad presbyteratum destinantur, ad diaconatus ordinem tantummodo post expletum aetatis annum vigesimum tertium admittantur.
제 1031 조 ① 탁덕품은 25세를 채우고 충분히 성숙한 자들이 아닌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하고 또한 부제품과 탁덕품 사이에 적어도 6개월의 간격이 지켜져야 한다. 탁덕품에 예정된 자들은 23세를 채운 후에만 부제품에 허가되어야 한다.
§2. Candidatus ad diaconatum permanentem qui non sit uxoratus ad eundem diaconatum ne admittatur, nisi post expletum vigesimum quintum saltem aetatis annum; qui matrimonio coniunctus est, nonnisi post expletum trigesimum quintum saltem aetatis annum, atque de uxoris consensu.
② 미혼자인 종신 부제품의 후보자는 적어도 25세를 채운 후가 아닌 한 부제품에 허가되지 말아야 한다. 기혼자인 후보자는 적어도 35세를 채운 후라야 되고 또한 아내의 동의도 있어야 한다.
§3. Integrum est Episcoporum conferentiis normam statuere, qua provectior ad presbyteratum et ad diaconatum permanentem requiratur aetas.
③ 주교회의는 탁덕품과 종신 부제품에 대하여 더 높은 연령이 요구되는 규범을 정할 자유가 있다.
§4. Dispensatio ultra annum super aetate requisita ad normam §§1 et 2, Apostolicae Sedi reservatur.
④ 제1항과 제2항의 규범에 따라 요구되는 연령에 대한 1년 이상의 관면은 사도좌에 유보된다.
Can. 1032 - §1. Aspirantes ad presbyteratum promoveri possunt ad diaconatum solummodo post expletum quintum curriculi studiorum philosophico-theologicorum annum.
제 1032 조 ① 탁덕품의 지원자들은 철학과 신학 수업 과정의 제5학년을 수료한 후에만 부제품에 승격될 수 있다.
§2. Post expletum studiorum curriculum, diaconus per tempus congruum, ab Episcopo vel a Superiore maiore competenti definiendum, in cura pastorali partem habeat, diaconalem exercens ordinem, antequam ad presbyteratum promoveatur.
② 수업 과정을 수료한 후 부제는 탁덕품에 승격되기 전에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이 정한 적당한 기간 동안 부제품을 집행하면서 사목에 참여하여야 한다.
§3. Aspirans ad diaconatum permanentem, ad hunc ordinem ne promoveatur nisi post expletum formationis tempus.
③ 종신 부제품의 지원자는 양성 기간을 수료한 후가 아닌 한 부제품에 승격되지 말아야 한다.

Art. 2

제 2 관 서품의 전제 요건

Can. 1033 - Licite ad ordines promovetur tantum qui recepit sacrae confirmationis sacramentum.
제 1033 조 견진성사를 받은 자만이 성품에 적법하게 승격될 수 있다.
Can. 1034 - §1. Ad diaconatum vel presbyteratum aspirans ne ordinetur, nisi prius per liturgicum admissionis ritum ab auctoritate, de qua in cann. 1016 et 1019, adscriptionem inter candidatos obtinuerit post praeviam suam petitionem propria manu exaratam et subscriptam, atque ab eadem auctoritate in scriptis acceptatam.
제 1034 조 ① 부제품이나 탁덕품의 지원자는 먼저 자기 손으로 작성하고 서명한 청원서를 제1016조와 제1019조에 언급된 권위자가 서면으로 수락한 후 이 권위자에 의하여 먼저 선발 전례 예식으로 후보자들 명단에 등록되지 아니하는 한 서품되지 말아야 한다.
§2. Ad eandem admissionem obtinendam non tenetur, qui per vota in clericale institutum cooptatus est.
② 서원으로 성직자 수도회에 입회된 자는 이와 같은 허가를 받을 의무가 없다.
Can. 1035 - §1. Antequam quis ad diaconatum sive permanentem sive transeuntem promoveatur, requiritur ut ministeria lectoris et acolythi receperit et per congruum tempus exercuerit.
제 1035 조 ① 종신 또는 과도적 부제품에 승격되려는 자는 그 전에 독서자와 시종자의 교역을 받고 적당한 기간 동안 실행하여야 한다.
§2. Inter acolythatus et diaconatus collationem intervallum intercedat sex saltem mensium.
② 시종직과 부제품의 수여 사이에 적어도 6개월의 간격이 있어야 한다.
Can. 1036 - Candidatus, ut ad ordinem diaconatus aut presbyteratus promoveri possit, Episcopo proprio aut Superiori maiori competenti declarationem tradat propria manu exaratam et subscriptam, qua testificetur se sponte ac libere sacrum ordinem suscepturum atque se ministerio ecclesiastico perpetuo mancipaturum esse, insimul petens ut ad ordinem recipiendum admittatur.
제 1036 조 후보자가 부제품이나 탁덕품에 승격될 수 있으려면 자기가 자진하여 자유로이 성품을 받을 것이며 교회의 교역(직무)에 종신토록 헌신하겠음을 증명하는 선언서를 자기 손으로 작성하고 서명하여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동시에 성품을 받을 허가도 청원하여야 한다.
Can. 1037 - Promovendus ad diaconatum permanentem qui non sit uxoratus, itemque promovendus ad presbyteratum, ad ordinem diaconatus ne admittantur, nisi ritu praescripto publice coram Deo et Ecclesia obligationem caelibatus assumpserint, aut vota perpetua in instituto religioso emiserint.
제 1037 조 미혼자인 종신 부제품의 후보자와 탁덕품의 후보자는 규정된 예식으로 하느님과 교회 앞에서 공적으로 독신 생활의 의무를 수락하거나 또는 수도회에서 종신 서원을 발하지 아니하는 한 부제품에 허가되지 말아야 한다.
Can. 1038 - Diaconus, qui ad presbyteratum promoveri renuat, ab ordinis recepti exercitio prohiberi non potest, nisi impedimentum detineatur canonico aliave gravi causa, de iudicio Episcopi dioecesani aut Superioris maioris competentis aestimanda.
제 1038 조 탁덕품에 승격되는 것을 거부하는 부제는 그가 받은 성품의 행사가 금지될 수 없다. 다만 교회법상의 장애가 있거나 또는 교구장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의 판단에 따른 다른 중대한 이유로 방해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1039 - Omnes qui ad aliquem ordinem promovendi sunt, exercitiis spiritualibus vacent per quinque saltem dies, loco et modo ab Ordinario determinatis; Episcopus, antequam ad ordinationem procedat, certior factus sit oportet candidatos rite iisdem exercitiis vacasse.
제 1039 조 어떤 성품에 승격될 모든 이는 직권자에 의하여 지정된 장소와 방식으로 적어도 5일간의 영성 수련을 하여야 한다. 주교는 서품을 진행하기 전에 후보자들이 이러한 영성 수련을 올바로 마쳤다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Art. 3 DE IRREGULARITATIBUSALIISQUE IMPEDIMENTIS

제 3 관 무자격과 그 밖의 장애

Can. 1040 - A recipiendis ordinibus arcentur qui quovis impedimento afficiuntur sive perpetuo, quod venit nomine irregularitatis, sive simplici; nullum autem impedimentum contrahitur, quod in canonibus qui sequuntur non contineatur.
제 1040 조 무자격이라고 일컫는 영구적 장애거나 단순한 장애거나 어떤 장애에라도 걸려 있는 자는 성품을 받는 것이 금지된다. 그러나 다음의 교회법 조문들에 포함되지 아니한 것은 아무 장애도 되지 아니한다.
Can. 1041 - Ad recipiendos ordines sunt irregulares:
제 1041 조 성품을 받기에 무자격자는 다음과 같다.
맨 처음이전 1 2 3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