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V
교회 교리서

Art. 1 DE REQUISITISIN ORDINANDIS

제 1 관 수품 후보자의 요건

Can. 1026 - Ut quis ordinetur debita libertate gaudeat oportet; nefas est quemquam, quovis modo, ob quamlibet causam ad ordines recipiendos cogere, vel canonice idoneum ab iisdem recipiendis avertere.
제 1026 조 누구든지 서품을 받기 위하여는 합당한 자유가 있어야 한다. 어떤 이에게 어떤 방식이나 어떤 이유로든지 성품을 받도록 강제하거나 혹은 교회법상 적격자에게 성품을 받기를 단념시켜서는 안 된다.
Can. 1027 - Aspirantes ad diaconatum et presbyteratum accurata praeparatione efformentur, ad normam iuris.
제 1027 조 부제품과 탁덕품의 지원자는 법규범에 따른 정확한 준비로 양성되어야 한다.
Can. 1028 - Curet Episcopus dioecesanus aut Superior competens ut candidati, antequam ad ordinem aliquem promoveantur, rite edoceantur de iis, quae ad ordinem eiusque obligationes pertinent.
제 1028 조 교구장 주교나 관할 장상은 후보자들이 어떤 성품에 승격되기 전에 그 성품과 그 의무에 속하는 사항들에 대하여 올바로 교육받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Can. 1029 - Ad ordines ii soli promoveantur qui, prudenti iudicio Episcopi proprii aut Superioris maioris competentis, omnibus perpensis, integram habent fidem, recta moventur intentione, debita pollent scientia, bona gaudent existimatione, integris moribus probatisque virtutibus atque aliis qualitatibus physicis et psychicis ordini recipiendo congruentibus sunt praediti.
제 1029 조 모든 것을 심사숙고한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은 현명한 판단으로 온전한 신앙을 가지고 지향이 올바르며 합당한 지식을 갖추고 평판이 좋으며 품행이 바르고 덕행이 있으며 또한 받을 성품에 합당한 신체적 및 심리적 기타 자격들을 구비하고 있는 자들만이 성품에 승격되도록 해야 한다.
Can. 1030 - Nonnisi ex causa canonica, licet occulta, proprius Episcopus vel Superior maior competens diaconis ad presbyteratum destinatis, sibi subditis, ascensum ad presbyteratum interdicere potest, salvo recursu ad normam iuris.
제 1030 조 소속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은 비록 은밀하더라도 교회법상 이유에 의하여서만 탁덕품에 예정된 자기 소속 부제들에게 탁덕품 승진을 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하여 법규범에 따라 소원할 수 있다.
Can. 1031 - §1. Presbyteratus ne conferatur nisi iis qui aetatis annum vigesimum quintum expleverint et sufficienti gaudeant maturitate, servato insuper intervallo sex saltem mensium inter diaconatum et presbyteratum; qui ad presbyteratum destinantur, ad diaconatus ordinem tantummodo post expletum aetatis annum vigesimum tertium admittantur.
제 1031 조 ① 탁덕품은 25세를 채우고 충분히 성숙한 자들이 아닌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하고 또한 부제품과 탁덕품 사이에 적어도 6개월의 간격이 지켜져야 한다. 탁덕품에 예정된 자들은 23세를 채운 후에만 부제품에 허가되어야 한다.
§2. Candidatus ad diaconatum permanentem qui non sit uxoratus ad eundem diaconatum ne admittatur, nisi post expletum vigesimum quintum saltem aetatis annum; qui matrimonio coniunctus est, nonnisi post expletum trigesimum quintum saltem aetatis annum, atque de uxoris consensu.
② 미혼자인 종신 부제품의 후보자는 적어도 25세를 채운 후가 아닌 한 부제품에 허가되지 말아야 한다. 기혼자인 후보자는 적어도 35세를 채운 후라야 되고 또한 아내의 동의도 있어야 한다.
§3. Integrum est Episcoporum conferentiis normam statuere, qua provectior ad presbyteratum et ad diaconatum permanentem requiratur aetas.
③ 주교회의는 탁덕품과 종신 부제품에 대하여 더 높은 연령이 요구되는 규범을 정할 자유가 있다.
§4. Dispensatio ultra annum super aetate requisita ad normam §§1 et 2, Apostolicae Sedi reservatur.
④ 제1항과 제2항의 규범에 따라 요구되는 연령에 대한 1년 이상의 관면은 사도좌에 유보된다.
Can. 1032 - §1. Aspirantes ad presbyteratum promoveri possunt ad diaconatum solummodo post expletum quintum curriculi studiorum philosophico-theologicorum annum.
제 1032 조 ① 탁덕품의 지원자들은 철학과 신학 수업 과정의 제5학년을 수료한 후에만 부제품에 승격될 수 있다.
§2. Post expletum studiorum curriculum, diaconus per tempus congruum, ab Episcopo vel a Superiore maiore competenti definiendum, in cura pastorali partem habeat, diaconalem exercens ordinem, antequam ad presbyteratum promoveatur.
② 수업 과정을 수료한 후 부제는 탁덕품에 승격되기 전에 주교나 관할 상급 장상이 정한 적당한 기간 동안 부제품을 집행하면서 사목에 참여하여야 한다.
§3. Aspirans ad diaconatum permanentem, ad hunc ordinem ne promoveatur nisi post expletum formationis tempus.
③ 종신 부제품의 지원자는 양성 기간을 수료한 후가 아닌 한 부제품에 승격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