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 DE SACRAMENTIS TITULUS VII DE MATRIMONIO
교회 교리서

CAPUT X DE MATRIMONII CONVALIDATIONE

제 10 절 혼인의 유효화

Art. 1

제 1 관 단순 유효화

Can. 1156 - §1. Ad convalidandum matrimonium irritum ob impedimentum dirimens, requiritur ut cesset impedimentum vel ab eodem dispensetur, et consensum renovet saltem pars impedimenti conscia.
제 1156 조 ① 무효 장애 때문에 무효인 혼인을 유효화하기 위하여는, 장애가 소멸되거나 관면되고, 적어도 장애를 의식하는 당사자가 합의를 갱신하도록 요구된다.
§2. Haec renovatio iure ecclesiastico requiritur ad validitatem convalidationis, etiamsi initio utraque pars consensum praestiterit nec postea revocaverit.
② 당사자들 양편이 당초에 합의를 표명하고 그 후 취소하지 아니하였더라도, 유효화의 효력을 위하여 이러한 합의의 갱신이 교회법상 요구된다.
Can. 1157 - Renovatio consensus debet esse novus voluntatis actus in matrimonium, quod pars renovans scit aut opinatur ab initio nullum fuisse.
제 1157 조 합의의 갱신은 갱신하는 당사자가 당초부터 무효였음을 알거나 짐작하는 그 혼인에 대한 새로운 의지 행위이어야 한다.
Can. 1158 - §1. Si impedimentum sit publicum, consensus ab utraque parte renovandus est forma canonica, salvo praescriptoCan. 1127, §2.
제 1158 조 ① 장애가 공개된 것이면, 당사자들 양편이 교회법상 형식으로 합의를 갱신하여야 한다. 다만 제1127조 제2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2. Si impedimentum probari nequeat, satis est ut consensus renovetur privatim et secreto, et quidem a parte impedimenti conscia, dummodo altera in consensu praestito perseveret, aut ab utraque parte, si impedimentum sit utrique parti notum.
② 장애가 증명될 수 없다면, 상대편이 표명한 합의가 지속되는 한 장애를 의식하는 당사자만, 또는 당사자들 양편이 장애를 알고 있다면 양편 당사자들이 사사로이 은밀하게 합의를 갱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Can. 1159 - §1. Matrimonium irritum ob defectum consensus convalidatur, si pars quae non consenserat, iam consentiat, dummodo consensus ab altera parte praestitus perseveret.
제 1159 조 ① 합의의 결함 때문에 무효인 혼인은, 상대편 당사자가 표명한 합의가 지속되는 한, 합의를 하지 아니하였던 당사자가 이제 합의를 하면 유효화된다.
§2. Si defectus consensus probari nequeat, satis est ut pars, quae non consenserat, privatim et secreto consensum praestet.
② 합의의 결함이 증명될 수 없다면, 합의를 하지 아니하였던 당사자가 사사로이 은밀하게 합의를 표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3. Si defectus consensus prob ari potest, necesse est ut consensus forma canonica praestetur.
③ 합의의 결함이 증명될 수 있다면, 교회법상 형식으로 합의를 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Can. 1160 - Matrimonium nullum ob defectum formae, ut validum fiat, contrahi denuo debet forma canonica, salvo praescriptoCan. 1127, §2.
제 1160 조 형식의 결함 때문에 무효인 혼인이 유효화되기 위하여는, 교회법상 형식으로 다시 맺어져야 한다. 다만 제1127조 제2항의 규정은 보존된다.

Art. 2 DE SANATIONE IN RADICE

제 2 관 근본 유효화

Can. 1161 - §1. Matrimonii irriti sanatio in radice est eiusdem, sine renovatione consensus, convalidatio, a competenti auctoritate concessa, secumferens dispensationem ab impedimento, si adsit, atque a forma canonica, si servata non fuerit, necnon retrotractionem effectuum canonicorum ad praeteritum.
제 1161 조 ① 무효한 혼인의 근본 유효화는 합의의 갱신이 없이 관할권자에 의하여 수여되는 유효화로서, 장애가 있거나 또한 교회법상 형식을 지키지 아니하였다면 그 관면뿐 아니라 교회법상 효과의 소급 적용도 수반하는 것이다.
§2. Convalidatio fit a momento concessionis gratiae; retrotractio vero intellegitur facta ad momentum celebrationis matrimonii, nisi aliud expresse caveatur.
② 이 유효화는 은전이 수여되는 시각부터 이루어진다. 그러나 혼인 거행의 시각까지 효과가 소급됨을 뜻한다. 다만 달리 명시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3. Sanatio in radice ne concedatur, nisi probabile sit partes in vita coniugali perseverare velle.
③ 근본 유효화는 당사자들이 부부 생활을 보전하기를 원하는 개연성이 없는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한다.
Can. 1162 - §1. Si in utraque vel alterutra parte deficiat consensus, matrimonium nequit sanari in radice, sive consensus ab initio defuerit, sive ab initio praestitus, postea fuerit revocatus.
제 1162 조 ① 당사자들 양편에나 한편에 합의가 처음부터 없었거나 또는 처음에는 표명되었다가 나중에 취소되었거나 간에, 합의가 결함되었으면, 혼인이 근본 유효화될 수 없다.
§2. Quod si consensus ab initio quidem defuerat, sed postea praestitus est, sanatio concedi potest a momenti praestiti consensus.
② 합의가 처음에는 없었다가 나중에 표명되었으면 근본 유효화는 합의 표명의 시각부터만 수여될 수 있다.
Can. 1163 - §1. Matrimonium irritum ob impedimentum vel ob defectum legitimae formae sanari potest, dummodo consensus utriusque partis perseveret.
제 1163 조 ① 장애 또는 합법적 형식의 결함 때문에 무효인 혼인은 당사자들 양편의 합의가 지속되어야만 근본 유효화될 수 있다.
§2. Matrimonium irritum ob impedimentum iuris naturalis aut divini positivi sanari potest solummodo postquam impedimentum cessavit.
② 자연법이나 하느님의 실정법에 의한 장애 때문에 무효인 혼인은 그 장애가 끝난 다음에만 근본 유효화될 수 있다.
Can. 1164 - Sanatio valide concedi potest etiam alterutra vel utraque parte inscia; ne autem concedatur nisi ob gravem causam.
제 1164 조 근본 유효화는 한편이나 양편 당사자가 모르게라도 유효하게 수여될 수 있다. 그러나 중대한 이유 때문이 아닌 한 수여되지 말아야 한다.
Can. 1165 - §1. Sanatio in radice concedi potest ab Apostolica Sede.
제 1165 조 ① 근본 유효화는 사도좌로부터 수여될 수 있다.
§2. Concedi potest ab Episcopo dioecesano in singulis casibus, etiam si plures nullitatis rationes in eodem matrimonio concurrant, impletis condicionibus, de quibus inCan. 1125, pro sanatione matrimonii mixti; concedi autem ab eodem nequit, si adsit impedimentum cuius dispensatio Sedi Apostolicae reservatur ad normamCan. 1078, §2, aut agatur de impedimento iuris naturalis aut divini positivi quod iam cessavit.
②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개별적인 경우에 비록 동일한 혼인에 여러 가지 무효 사유들이 겹쳐 있더라도 근본 유효화가 수여될 수 있다. 혼종 혼인의 근본 유효화를 위하여는 제1125조에 언급된 조건들이 채워져야 한다. 그러나 제1078조 제2항의 규범에 따라 관면이 사도좌에 유보된 장애가 있거나 또는 이미 끝났더라도 자연법이나 하느님의 실정법에 의한 장애에 관한 경우에는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근본 유효화가 수여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