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I DE CETERIS ACTIBUS CULTUS DIVINI TITULUS V DE VOTO ET IUREIURANDO
교회 교리서

TITULUS V DE VOTO ET IUREIURANDO

제 5 장 서원과 맹세

CAPUT I DE VOTO

제 1 절 서원

Can. 1191 - §1. Votum, idest promissio deliberata ac libera Deo facta de bono possibili et meliore, ex virtute religionis impleri debet.
제 1191 조 ① 서원 즉 가능하고 더 좋은 선에 관하여 심사 숙고하고 자유로이 하느님께 맺은 약속은 종교의 덕행으로 이행되어야 한다.
§2. Nisi iure prohibeantur, omnes congruenti rationis usu pollentes, sunt voti capaces.
② 이성의 사용을 합당하게 하는 모든 이는 법으로 금지되지 아니하는 한, 서원을 발할 능력이 있다.
§3. Votum metu gravi et iniusto vel dolo emissum ipso iure nullum est.
③ 불의한 심한 공포나 범의로 발한 서원은 법 자체로 무효다.
Can. 1192 - §1. Votum est publicum, si nomine Ecclesiae a legitimo Superiore acceptetur; secus privatim.
제 1192 조 ① 합법적인 장상에 의하여 교회의 이름으로 접수되는 서원은 공적 서원이고, 그 외는 사적 서원이다.
§2. Sollemne, si ab Ecclesia uti tale fuerit agnitum; secus simplex.
② 교회에 의하여 장엄한 서원으로 인정된 서원은 장엄 서원이고, 그 외는 단순 서원이다.
§3. Personale, quo actio voventis promittitur; reale, quo promittitur res aliqua; mixtum, quod personalis et realis naturam participat.
③ 서원자의 행동이 약속되는 것은 인적 서원이고, 어떤 사물이 약속되는 것은 물적 서원이며, 인적 및 물적 성격을 겸하는 것은 혼합 서원이다.
Can. 1193 - Votum non obligat, ratione sui, nisi emittentem.
제 1193 조 서원은 그 성질상 서원자 외에는 구속하지 아니한다.
Can. 1194 - Cessat votum lapsu temporis ad finiendam obligationem appositi, mutatione substantiali materiae promissae, deficiente condicione a qua votum pendet aut eiusdem causa finali, dispensatione, commutatione.
제 1194 조 서원은 그 의무를 완료하기 위하여 지정된 시간의 경과, 약속된 재료(내용)의 본질적 변화, 서원이 걸려 있는 조건이나 그 목적 원인의 결여, 또는 관면이나 교환으로 끝난다.
Can. 1195 - Qui potestatem in voti materiam habet, potest voti obligationem tamdiu suspendere, quamdiu voti adimpletio sibi praeiudicium afferat.
제 1195 조 서원의 재료(내용)에 대하여 권력을 가진 이는 서원의 이행이 자기에게 손해를 끼치는 동안에는 그 서원의 의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
Can. 1196 - Praeter Romanum Pontificem, vota privata possunt iusta de causa dispensare, dummodo dispensatio ne laedat ius aliis quaesitum:
제 1196 조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타인의 기득권을 침해하지 아니하는 한, 사적 서원들을 관면할 수 있는 이들은 교황 외에도 다음과 같다.
1. loci Ordinarius et parochus, quod attinet ad omnes ipsorum subditos atque etiam peregrinos;
1. 교구 직권자와 본당 사목구 주임은 자기들의 모든 소속자들뿐 아니 라 체재자들에 대하여.
2. Superior instituti religiosi aut societatis vitae apostolicae, si sint clericalia iuris pontificii, quod attinet ad sodales, novitios atque personas, quae diu noctuque in domo instituti aut societatis degunt;
2. 수도회나 사도 생활단이, 성좌 설립 성직자회이면 그 장상은 그 회원들과 수련자들 및 그 회나 단의 집에서 주야로 지내는 자들에 대하여.
3. ii quibus ab Apostolica Sede vel ab Ordinario loci delegata fuerit dispensandi potestas.
3. 사도좌나 교구 직권좌로부터 관면권을 위임받은 이들.
Can. 1197 - Opus voto privato promissum potest in maius vel in aequale bonum ab ipso vovente commutari; in minus vero bonum, ab illo cui potestas est dispensandi ad normamCan. 1196.
제 1197 조 사적 서원으로 약속된 일은 서원자 본인에 의하여 더 크거나 동등한 선익으로 교환될 수 있다. 더 적은 선익으로는 제1196조 규범에 따른 관면권자에 의하여 교환될 수 있다.
Can. 1198 - Vota ante professionem religiosam emissa suspenduntur, donec vovens in instituto religioso permanserit.
제 1198 조 수도 선서 전에 발한 서원들은 서원자가 수도회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는 정지된다.

CAPUT II DE IUREIURANDO

제 2 절 맹세

Can. 1199 - §1. Iusiurandum, idest invocatio Nominis divini in testem veritatis, praestari nequit, nisi in veritate, in iudicio et in iustitia.
제 1199 조 ① 맹세 즉 진실의 증인으로서 하느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진리와 판단과 정의 안에서가 아닌 한 발할 수 없다.
§2. Iusiurandum quod canones exigunt vel admittunt, per procuratorem praestari valide nequit.
② 교회법 조문들이 요구하거나 허가하는 맹세는 대리인을 통하여서는 유효하게 발할 수 없다.
Can. 1200 - §1. Qui libere iurat se aliquid facturum, peculiari religionis obligatione tenetur implendi, quod iureiurando firmaverit.
제 1200 조 ① 자기가 어떤 것을 하겠다고 자유로이 맹세한 자는, 맹세로 확언한 것을 이행할 특별한 종교의 의무가 있다.
§2. Iusiurandum dolo, vi aut metu gravi extortum, ipso iure nullum est.
② 범의나 힘이나 심한 공포로 강요된 맹세는 법 자체로 무효다.
Can. 1201 - §1. Iusiurandum promissorium sequitur naturam et condiciones actus cui adicitur.
제 1201 조 ① 약속의 맹세는 그 맹세가 붙여진 행위의 본성과 조건을 따른다.
§2. Si actui directe vergenti in damnum aliorum aut in praeiudicium boni publici vel salutis aeternae iusiurandum adiciatur, nullam exinde actus consequitur firmitatem.
② 타인들의 손해나 또는 공익이나 영원한 구원의 침해를 직접 지향하는 행위에 맹세가 붙여졌으면 그 때문에 그 행위가 강화되지는 아니한다.
Can. 1202 - Obligatio iureiurando promissorio inducta desinit:
제 1202 조 약속의 맹세로 말미암은 의무가 끝나는 때는 다음과 같다.
1. si remittatur ab eo in cuius commodum iusiurandum emissum fuerat;
1. 맹세를 발함으로써 이익을 받을 자에 의하여 면제되는 때.
2. si res iurata substantialiter mutetur, aut, mutatis adiunctis, fiat vel mala vel omnino indifferens, vel denique maius bonum impediat;
2. 맹세된 사물이 본질적으로 변하거나 또는 사정이 바뀌어 악하게 되거나 전혀 무관하게 되거나 더 큰 선을 방해하는 때.
3. deficiente causa finali aut condicione sub qua forte iusiurandum datum est;
3. 맹세를 하게 된 목적 원인이나 조건이 결여되는 때.
4 dispensatione, commutatione, ad normamCan. 1203.
4. 제1203조의 규범에 따라 관면되거나 교환되는 때.
Can. 1203 - Qui suspendere, dispensare, commutare possunt votum, eandem potestatem eademque ratione habent circa iusiurandum promissorium; sed si iurisiurandi dispensatio vergat in praeiudicium aliorum qui obligationem remittere recusent, una Apostolica Sedes potest iusiurandum dispensare.
제 1203 조 서원을 정지시키고 관면하고 교환할 수 있는 이들은 약속의 맹세에 관하여서도 같은 이유로 같은 권력을 가진다. 그러나 맹세의 관면이 그 의무의 면제를 거부하는 타인들의 침해를 지향하면, 사도좌만이 그 맹세를 관면할 수 있다.
Can. 1204 - Iusiurandum stricte est interpretandum secundum ius et secundum intentionem iurantis aut, si hic dolo agat, secundum intentionem illius cui iusiurandum praestatur.
제 1204 조 맹세는 법과 맹세자의 의향에 따라 좁게 해석되어야 한다. 만일 맹세자가 범의로 발했으면 그 맹세의 상대자의 지향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