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IV DE ECCLESIAE MUNERE SANCTIFICANDI

교회 교리서
PARS III DE LOCIS ET TEMPORIBUS SACRIS TITULUS I DE LOCIS SACRIS
교회 교리서

TITULUS I DE LOCIS SACRIS

제 1 장 거룩한 장소

Can. 1205 - Loca sacra ea sunt quae divino cultui fideliumve sepulturae deputantur dedicatione vel benedictione, quam liturgici libri ad hoc praescribunt.
제 1205 조 거룩한 장소란 하느님 경배나 신자들의 매장을 위하여 전례서가 이 목적으로 규정한 봉헌이나 축복으로 지정된 장소다.
Can. 1206 - Dedicatio alicuius loci spectat ad Episcopum dioecesanum et ad eos qui ipsi iure aequiparantur; iidem possunt cuilibet Episcopo vel, in casibus exceptionalibus, presbytero munus committere dedicationem peragendi in suo territorio.
제 1206 조 어떤 장소의 봉헌은 교구장 주교 및 법률상 그들과 동등시되는 이들에게 속한다. 이들은 자기 지역 안에서 봉헌을 거행할 임무를 어느 주교에게든지 또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탁덕에게 맡길 수 있다.
Can. 1207 - Loca sacra benedicuntur ab Ordinario; benedictio tamen ecclesiarum reservatur Episcopo dioecesano; uterque vero potest alium sacerdotem ad hoc delegare.
제 1207 조 거룩한 장소는 직권자에 의하여 축복된다. 그러나 성당의 축복은 교구장 주교에게 유보된다. 이 두 사람들이 모두 다른 사제에게 이를 위임할 수 있다.
Can. 1208 - De peracta dedicatione vel benedictione ecclesiae, itemque de benedictione coemeterii redigatur documentum, cuius alterum exemplar in curia dioecesana, alterum in ecclesiae archivo servetur.
제 1208 조 성당의 봉헌이나 축복 또 묘지의 축복이 거행되면, 문서를 작성하여 그 등본의 한 부는 교구청에 또 한 부는 그 성당의 문서고에 보관하여야 한다.
Can. 1209 - Dedicatio vel benedictio alicuius loci, modo nemini damnum fiat, satis probatur etiam per unum testem omni exceptione maiorem.
제 1209 조 어떤 장소의 봉헌이나 축복은 아무에게도 손해가 되지 아니하는 한, 흠잡힐 데 없는 한 명의 증인으로도 충분히 증명된다.
Can. 1210 - In loco sacra ea tantum admittantur quae cultui, pietati, religioni exercendis vel promovendis inserviunt, ac vetatur quidquid a loci sanctitate absonum sit. Ordinarius vero per modum actus alios usus, sanctitati tamen loci non contrarios, permittere potest.
제 1210 조 거룩한 장소에는 경배와 신심과 종교의 행위를 실행하거나 증진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만 허가되고, 장소의 거룩함에 맞지 아니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금지된다. 그러나 직권자는 장소의 거룩함에 상충되지 아니하는 다른 용도를 임시 조치로만 허가할 수 있다.
Can. 1211 - Loca sacra violantur per actiones graviter iniuriosas cum scandalo fidelium ibi positas, quae, de iudicio Ordinarii loci, ita graves et sanctitati loci contrariae sunt ut non liceat in eis cultum exercere, donec ritu paenitentiali ad normam librorum liturgicorum iniuria reparetur.
제 1211 조 거룩한 장소는 신자들에게 추문이 될 만큼 심히 해로운 행위, 즉 교구 직권자의 판단으로 전례서의 규범에 따른 참회 예식으로 그 해악이 보상되기까지는 거기서 경배를 거행할 수 없을 만큼 그 장소의 거룩함에 상충되는 중대한 행위가 거기서 저질러지면 모독된다.
Can. 1212 - Dedicationem vel benedictionem amittunt loca sacra, si magna ex parte destructa fuerint, vel ad usus profanos permanenter decreto competentis Ordinarii vel de facto reducta.
제 1212 조 거룩한 장소는 그 대부분이 파손되거나 또는 관할 직권자의 교령으로나 사실상으로 영구적으로 속된 용도로 격하되면 봉헌이나 축복을 상실한다.
Can. 1213 - Potestates suas et munera auctoritas ecclesiastica in locis sacris libere exercet.
제 1213 조 교회의 권위는 거룩한 장소에서 자기의 권력과 임무를 자유로이 집행한다.

CAPUT I DE ECCLESIIS

제 1 절 성당

Can. 1214 - Ecclesiae nomine intellegitur aedes sacra divino cultui destinata, ad quam fidelibus ius est adeundi ad divinum cultum praesertim publice exercendum.
제 1214 조 성당은 하느님 경배를 위하여 지정된 거룩한 건물을 뜻하며, 신자들은 하느님 경배를 특히 공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이 집에 출입할 권리가 있다.
Can. 1215 - §1. Nulla ecclesia aedificetur sine expresso Episcopi dioecesani consensu scriptis dato.
제 1215 조 ① 교구장 주교의 명시적 서면 동의 없이는 어떠한 성당도 건축되어서는 아니 된다.
§2. Episcopus dioecesanus consensum ne praebeat nisi, audito consiio presbyterali et vicinarum ecclesiarum rectoribus, censeat novam ecclesiam bono animarum inservire posse, et media ad ecclesiae aedificationem et ad cultum divinum necessaria non esse defutura.
② 교구장 주교는 사제 평의회와 인근 성당들의 담임들의 의견을 들은 후, 새 성당이 영혼들의 선익에 이바지될 수 있고 성당 건축과 하느님 경배를 위하여 필요한 수단이 결핍되지 아니하리라고 여겨지지 아니하는 한, 동의를 하지 말아야 한다.
§3. Etiam instituta religiosa, licet consensum constituendae novae domus in dioecesi vel civitate ab Episcopo dioeces ano rettulerint, antequam tamen ecclesiam in certo ac determinato loco aedificent, eiusdem licentiam obtinere debent.
③ 수도회들도 교구장 주교로부터 그 교구나 도시 안에 새 집(수도원)을 설치할 동의를 얻었더라도, 어떤 특정한 장소에 성당을 건축하기 전에 교구장 주교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Can. 1216 - In ecclesiarum aedificatione et refectione, adhibito peritorum consiio, serventur principia et normae liturgiae et artis sacrae.
제 1216 조 성당들의 건축이나 보수 때에는 전문가들에게 자문하고, 전례와 거룩한 예술의 원칙과 규범을 지켜야 한다.
Can. 1217 - §1. Aedificatione rite peracta, nova ecclesia quam primum dedicetur aut saltem benedicatur, sacrae liturgiae legibus servatis.
제 1217 조 ① 건축이 올바로 끝나면, 새 성당은 되도록 빨리 거룩한 전례법을 준수하면서 봉헌되거나 적어도 축복되어야 한다.
§2. Sollemni ritu dedicentur ecclesiae, praesertim cathedrales et paroeciales.
② 성당들 특히 주교좌 성당들과 본당 사목구 성당들은 장엄한 예식으로 봉헌되어야 한다.
Can. 1218 - Unaquaeque ecclesia suum habeat titulum qui, peracta ecclesiae dedicatione, mutari nequit.
제 1218 조 각 성당은 고유한 명의를 가져야 하며, 성당의 봉헌이 거행된 후에는 이 명의가 변경될 수 없다.
Can. 1219 - In ecclesia legitime dedicata vel benedicta omnes actus cultus divini perfici possunt, salvis iuribus paroecialibus.
제 1219 조 합법적으로 봉헌되거나 축복된 성당에서는 모든 하느님 경배 행위들이 거행될 수 있다. 다만 본당 사목구의 권리들은 존중된다.
Can. 1220 - §1. Curent omnes ad quos res pertinet, ut in ecclesiis illa munditia ac decor serventur, quae domum Dei addeceant, et ab iisdem arceatur quidquid a sanctitate loci absonum sit.
제 1220 조 ① 관계자들은 모두 성당이 하느님의 집으로서 알맞은 청결과 미관이 유지되게 하고, 장소의 거룩함에 맞지 아니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지 치우도록 보살펴야 한다.
§2. Ad bona sacra et pretiosa tuenda ordinaria conservationis cura et opportuna securitatis media adhibeantur.
② 거룩하고 귀중한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적 보존 관리와 적절한 안전 장치가 있어야 한다.
Can. 1221 - Ingressus in ecclesiam tempore sacrarum celebrationum sit liber et gratuitus.
제 1221 조 거룩한 예식 거행 때 성당에의 입장은 자유롭고 무료이어야 한다.
Can. 1222 - §1. Si qua ecclesia nullo modo ad cultum divinum adhiberi queat et possibilitas non detur eam reficiendi, in usum profanum non sordidum ab Episcopo dioecesano redigi potest.
제 1222 조 ① 어떤 성당이 하느님 경배를 위하여 도저히 사용될 수도 없고 그것을 보수할 가능성도 없으면, 교구장 주교에 의하여 더럽지 아니한 속된 용도로 변경될 수 있다.
§2. Ubi aliae graves causae suadeant ut aliqua ecclesia ad divinum cultum amplius non adhibeatur, eam Episcopus dioecesanus, audito consilio presbyterali, in usum profanum non sordidum redigere potest, de consensu eorum qui iura in eadem sibi legitime vindicent, et dummodo animarum bonum nullum inde detrimentum capiat.
② 그 밖의 중대한 이유 때문에 어떤 성당이 하느님 경배를 위하여 더 이상 사용되지 아니하게 되면 그 성당에 대하여 합법적으로 권리를 주장하는 자들의 동의가 있고, 또한 그 때문에 영혼들의 선익이 아무런 해도 입지 아니하면 교구장 주교는 사제 평의회의 의견을 들은 후 더럽지 아니한 속된 용도로 변경할 수 있다.

CAPUT II DE ORATORIISET DE SACELLIS PRIVATIS

제 2 절 경당과 사설 예배실

Can. 1223 - Oratorii nomine intellegitur locus divino cultui, in commodum alicuius communitatis vel coetus fidelium eo convenientium de licentia Ordinarii destinatus, ad quem etiam alii fideles de consensu Superioris competentis accedere possunt.
제 1223 조 경당은 어떤 공동체나 또는 그 곳에 모이는 신자들의 집단의 편익을 위하여 직권자의 허가로 지정된 하느님 경배의 장소를 뜻하며, 다른 신자들도 관할 장상의 동의 아래 그 곳에 출입할 수 있다.
Can. 1224 - §1. Ordinarius licentiam ad constituendum oratorium requisitam ne concedat, nisi prius per se vel per alium locum ad oratorium destinatum visitaverit et decenter instructum reppererit.
제 1224 조 ① 직권자는 경당으로 지정된 장소를 몸소 또는 타인을 시켜 먼저 시찰하여 합당하게 설비되었음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경당을 설치하기에 필요한 허가를 주지 말아야 한다.
§2. Data autem licentia, oratorium ad usus profanos converti nequit sine eiusdem Ordinarii auctoritate.
② 일단 허가를 받은 경당은 동일한 직권자의 권위 없이는 속된 용도로 변경될 수 없다.
Can. 1225 - In oratoriis legitime constitutis omnes celebrationes sacrae peragi possunt, nisi quae iure aut Ordinarii loci praescripto excipiantur, aut obstent normae liturgicae.
제 1225 조 합법적으로 설치된 경당들에서는 모든 거룩한 예식이 거행될 수 있다. 다만 법으로나 교구 직권자의 규정으로 제외되거나 전례 규범이 저지하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1226 - Nomine sacelli privati intellegitur locus divino cultui, in commodum unius vel plurium personarum physicarum, de licentia Ordinarii loci destinatus.
제 1226 조 사설 예배실은 한 명이나 여러 명의 자연인들의 편익을 위하여 교구 직권자의 허가로 지정된 하느님 경배의 장소를 뜻한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