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VII DE PROCESSIBUS

교회 교리서
PARS I DE IUDICIIS IN GENERE TITULUS I DE FORO COMPETENTI
교회 교리서

TITULUS I DE FORO COMPETENTI

제 1 장 관할 법정

Can. 1404 - Prima Sedes a nemine iudicatur.
제 1404 조 최고좌는 아무한테서도 재판받지 아니한다.
Can. 1405 - §1. Ipsius Romani Pontificis dumtaxat ius est iudicandi in causis de quibus inCan. 1401:
제 1405 조 ① 제1401조에 언급된 소송 사건들 중에 교황에게만 재판권이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eos qui supremum tenent civitatis magistratum;
1. 국가의 최고 직위를 가진 이들.
2. Patres Cardinales;
2. 추기경들.
3. Legatos Sedis Apostolicae, et in causis poenalibus Episcopos;
3. 사도좌의 사절들, 그리고 형사 소송 사건들에서 주교들.
4. alias causas quas ipse ad suum advocaverit iudicium.
4. 교황이 자기의 재판으로 이관시킨 그 밖의 소송 사건들.
§2. Iudex de actu vel instrumento a Romano Pontifice in forma specifica confirmato videre non potest, nisi ipsius praecesserit mandatum.
② 교황에 의하여 특별 형식으로 확인된 행위나 증서들에 대하여는 먼저 교황의 위임이 없는 한 재판관이 심리할 수 없다.
§3. Rotae Romanae reservatur iudicare:
③ 로마 공소 법원(控訴法院)에 재판이 유보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Episcopos in contentiosis, firmo praescriptoCan. 1419, §2;
1. 민사 소송 사건들에서 주교들, 다만 제1419조 제2항의 규정은 보존 된다.
2. Abbatem primatem, vel Abbatem superiorem congregationis monasticae, et supremum Moderatorem institutorum religiosorum iuris pontificii;
2. 수석 아바스 또는 수도승원 연합회(修族)의 장상 아바스 및 성좌 설립 수도회들의 총원장.
3. dioeceses aliasve personas ecclesiasticas, sive physicas sive iuridicas, quae Superiorem infra Romanum Pontificem non habent.
3. 교구들 및 교황 이하의 장상이 없는 그 밖의 교회의 자연인들이나 법인들.
Can. 1406 - §1. Violato praescriptoCan. 1404, acta et decisiones pro infectis habentur.
제 1406 조 ① 제1404조의 규정을 위반한 기록 문서와 결정은 아니 행한 것으로 간주된다.
§2. In causis, de quibus inCan. 1405, aliorum iudicum incompetentia est absoluta.
② 제1405조에 언급된 소송 사건들에서 다른 재판관들의 무관할권은 절대적이다.
Can. 1407 - §1. Nemo in prima instantia conveniri potest, nisi coram iudice ecclesiastico qui competens sit ob unum ex titulis qui in cann. 1408-1414 determinantur.
제 1407 조 ① 제1408-1414조에 규정된 권원(權原)들 중 한 가지에 따라 관할권을 가지는 교회 재판관 앞으로가 아니면 아무도 제1심에 제소될 수 없다.
§2. Incompetentia iudicis, cui nullus ex his titulis suffragatur, dicitur relativa.
② 이러한 권원들 중 한 가지도 가지지 아니하는 재판관의 무관할권은 상대적이라고 일컫는다.
§3. Actor sequitur forum partis conventae; quod si pars conventa multiplex forum habet, optio fori actori conceditur.
③ 청구인(원고)은 피청구인(피고)의 재판적(裁判籍)을 따른다. 그러나 피청구인이 여러 재판적들을 가지고 있다면 청구인에게 재판적의 선택이 허가된다.
Can. 1408 - Quiibet conveniri potest coram tribunali domicilii vel quasi-domicilii.
제 1408 조 누구라도 자기의 주소지나 준주소지의 법원 앞으로 제소될 수 있다.
Can. 1409 - §1. Vagus forum habet in loco ubi actu commoratur.
제 1409 조 ① 주소 부정자는 현재 거주하는 곳의 재판적에 따른다.
§2. Is, cuius neque domicilium aut quasi-domicilium neque locus commorationis nota sint, conveniri potest in foro actoris, dummodo aliud forum legitimum non suppetat.
② 주소지나 준주소지 또는 현거주지도 불명한 이는 다른 합법적 재판적이 마련되지 아니하는 한 청구인(원고)의 재판적에 제소될 수 있다.
Can. 1410 - Ratione rei sitae, pars conveniri potest coram tribunali loci, ubi res litigiosa sita est, quoties actio in rem directa sit, aut de spolio agatur.
제 1410 조 대물 소권이거나 침탈에 관하여는 그 때마다 계쟁물이 소재하는 곳의 법원 앞으로 당사자가 물건의 소재지의 이유로 제소될 수 있다.
Can. 1411 - §1. Ratione contractus pars conveniri potest coram tribunali loci in quo contractus initus est vel adimpleri debet, nisi partes concorditer aliud tribunal elegerint.
제 1411 조 ① 계약이 체결되었거나 이행되어야 할 곳의 법원 앞으로 당사자가 계약의 이유로 제소될 수 있다. 다만 당사자들이 합의하여 다른 법원을 선택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2. Si causa versetur circa obligationes quae ex alio titulo proveniant, pars conveniri potest coram tribunali loci, in quo obligatio vel orta est vel est adimplenda.
② 다른 권원에서 생기는 의무에 관한 소송이면 의무가 발생되었거나 이행되어야 할 곳의 법원 앞으로 당사자가 제소될 수 있다.
Can. 1412 - In causis poenalibus accusatus, licet absens, conveniri potest coram tribunali loci, in quo delictum patratum est.
제 1412 조 형사 소송에서 피고소인은 부재중이라도 범죄가 실행된 곳의 법원 앞으로 제소될 수 있다.
Can. 1413 - Pars conveniri potest:
제 1413 조 당사자가 제소될 수 있는 법원은 다음과 같다.
1. in causis quae circa administrationem versantur, coram tribunali loci ubi administratio gesta est;
1. 재산 관리에 관한 소송 사건들에서는 재산 관리가 수행된 곳의 법원.
2. in causis quae respiciunt hereditates vel legata pia, coram tribunali ultimi domicilii vel quasidomicilii vel commorationis, ad normam cann. 1408-1409, illius de cuius hereditate vel legato pio agitur, nisi agatur de mera exsecutione legati, quae videnda est secundum ordinarias competentiae normas.
2. 유산이나 신심 유증에 관한 소송 사건들에서는 제1408-1409조의 규 범을 따라 소송의 대상인 유산이나 신심 유증을 남긴 자의 마지막 주소지나 준주소지나 거주지의 법원. 다만 유증의 집행에 국한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이 경우에는 관할권의 통상 규범대로 심리되어야 한다.
Can. 1414 - Ratione conexionis, ab uno eodemque tribunali et in eodem processu cognoscendae sunt causae inter se conexae, nisi legis praescriptum obstet.
제 1414 조 서로 연관된 소송 사건들은 연관성의 이유로 동일한 법원에서 또한 동일한 소송 절차로 심판되어야 한다. 다만 법률 규정이 이를 저지하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1415 - Ratione praeventionis, si duo vel plura tribunalia aeque competentia sunt, ei ius est causam cognoscendi, quod prius partem conventam legitime citaverit.
제 1415 조 둘 또는 여러 법원들이 동등한 관할권을 가지면 피청구인(피고)을 합법적으로 먼저 소환한 법원에 선착수의 이유로 소송 심판권이 있다.
Can. 1416 - Conflictus competentiae inter tribunalia eidem tribunali appellationis subiecta, ab hoc tribunali solvuntur; a Signatura Apostolica, si eidem tribunali appellationis non subsunt.
제 1416 조 법원들 사이의 관할권의 분쟁은 그 법원들이 동일한 상소 법원에 종속하면 그 (상소) 법원에 의하여 해결된다. 동일한 상소 법원에 종속하지 아니하면 사도좌 대심 법원(大審法院)에 의하여 해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