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VII DE PROCESSIBUS

교회 교리서
PARS I DE IUDICIIS IN GENERE TITULUS III DE DISCIPLINAIN TRIBUNALIBUS SERVANDA
교회 교리서

CAPUT II

제 2 절

Can. 1458 - Causae cognoscendae sunt eo ordine quo fuerunt propositae et in albo inscriptae, nisi ex iis aliqua celerem prae ceteris expeditionem exigat, quod quidem peculiari decreto, rationibus suffulto, statuendum est.
제 1458 조 소송 사건은 제기되어 소송 사건 등록부에 기재된 순서대로 심판되어야 한다. 다만 그 가운데 다른 소송 사건들보다 신속한 처리를 요구하는 소송 사건은 예외이며 이 경우에는 그 이유를 밝히는 특별 재결로 정하여야 한다.
Can. 1459 - §1. Vitia, quibus sententiae nullitas haberi potest, in quolibet iudicii statu vel gradu excipi possunt itemque a iudice ex officio declarari.
제 1459 조 ① 판결이 무효로 간주될 수 있는 하자(흠결)는 재판의 어느 단계나 심급에서든지 항변될 수 있고 또한 재판관에 의하여 직권으로 선언될 수도 있다.
§2. Praeter casus de quibus in §1, exceptiones dilatoriae, eae praesertim quae respiciunt personas et modum iudicii, proponendae sunt ante contestationem litis, nisi contestata iam lite emerserint, et quam primum definiendae.
② 제1항에 언급된 경우 외에는 연기적 항변은, 특히 사람들과 재판 방법에 관한 항변은, 소송의 성립 이후에 나타난 사항이 아닌 한 소송의 성립 전에 제기되어야 하고 또한 되도록 빨리 판정되어야 한다.
Can. 1460 - §1. Si exceptio proponatur contra iudicis competentiam, hac de re ipse iudex videre debet.
제 1460 조 ① 재판관의 관할권에 대하여 항변이 제기되면, 이에 대하여 그 재판관 자신이 심리하여야 한다.
§2. In casu exceptionis de incompetentia relativa, si iudex se competentem pronuntiet, eius decisio non admittit appellationem, at non prohibentur querela nullitatis et restitutio in integrum.
② 상대적 무관할권에 대한 항변의 경우에 재판관이 자기에게 관할권이 있다고 선언하면, 이 결정은 상소를 허용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판결 무효 확인과 원상 회복의 상소는 금지되지 아니한다.
§3. Quod si iudex se incompetentem declaret, pars qua se gravatam reputat, potest intra quindecim dies utiles provocare ad tribunal appellationis.
③ 재판관이 자기의 무관할권을 선언하면, 손해를 입었다고 여기는 당사자는 15일의 유용 기간 이내에 상소 법원에 항고할 수 있다.
Can. 1461 - Iudex in quovis stadio causae se absolute incompetentem agnoscens, suam incompetentiam declarare debet.
제 1461 조 재판관은 소송 사건의 어느 단계에서든지 자기가 절대적 무관할권자임을 알면, 자기의 무관할권을 선언하여야 한다.
Can. 1462 - §1. Exceptiones rei iudicatae, transactionis et aliae peremptoriae quae dicuntur litis finitae, proponi et cognosci debent ante contestationem litis; qui serius eas opposuerit, non est reiciendus, sed condemnetur ad expensas, nisi probet se oppositionem malitiose non distulisse.
제 1462 조 ① 기판(旣判) 사항과 화해 및 이른바 쟁송의 종료라는 기타의 소멸적 항변은 소송의 성립 이전에 제기되어 심리되어야 한다. 뒤늦게 항변을 제기하여도 기각되지 말아야 하지만, 그 항변 제기가 악의로 지연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하지 아니하는 한, 그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2. Aliae exceptiones peremptoriae proponantur in contestatione litis, et suo tempore tractandae sunt secundum regulas circa quaestiones incidentes.
② 그 밖의 소멸적 항변은 소송의 성립 중에 제기되어야 하고 제때에 중간 소송의 문제에 관한 규칙을 따라 다루어져야 한다.
Can. 1463 - §1. Actiones reconventionales proponi valide nequeunt, nisi intra triginta dies a lite contestata.
제 1463 조 ① 반소의 소송은 소송의 성립 후 30일 이내가 아니면 유효하게 제기될 수 없다.
§2. Eaedem autem cognoscantur simul cum conventionali actione, hoc est pari gradu cum ea, nisi eas separatim cognoscere necessarium sit aut iudex id opportunius existimaverit.
② 반소의 소송은 본소송과 동시에 즉 본소송과 같은 심급에서 심리되어야 한다. 다만 분리해서 심리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재판관이 그것이 더 적절하다고 여겼다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Can. 1464 - Quaestiones de cautione pro expensis iudicialibus praestanda aut de concessione gratuiti patrocinii, quod statim ab initio postulatum fuerit, et aliae huiusmodi regulariter videndae sunt ante litis contestationem.
제 1464 조 재판 비용을 위하여 제시될 담보 또는 시초부터 즉시 요청된 무상 변호의 허가에 관한 문제들 그리고 그 밖의 이와 비슷한 문제들은 원칙적으로 소송의 성립 이전에 심리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