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LIBER VII DE PROCESSIBUS

교회 교리서
PARS III DE QUIBUSDAMPROCESSIBUS SPECIALIBUS TITULUS II DE CAUSIS AD SACRAE ORDINATIONISNULLITATEM DECLARANDAM
교회 교리서

TITULUS II DE CAUSIS AD SACRAE ORDINATIONISNULLITATEM DECLARANDAM

제 2 장 서품의 무효 선언 소송

Can. 1708 - Validitatem sacrae ordinationis ius habent accusandi sive ipse clericus sive Ordinarius, cui clericus subest vel in cuius dioecesi ordinatus est.
제 1708 조 성직자 본인이거나 또는 그 성직자가 소속하는 직권자거나 서품받은 교구의 직권자거나 서품의 유효성을 고소할 권리를 가진다.
Can. 1709 - §1. Libellus mitti debet ad competentem Congregationem, quae decernet utrum causa ab ipsa Curiae Romanae Congregatione an a tribunali ab ea designato sit agenda.
제 1709 조 ① 소장은 교황청의 관할 심의회(성)에 제출되어야 한다. 그 심의회(성)는 그 소송 사건을 직접 다룰 것인지 또는 그 심의회(성)에 의하여 지정된 법원에서 다룰 것인지를 판정한다.
§2. Misso libello, clericus ordines exercere ipso iure vetatur.
② 소장이 제출되면 그 성직자는 성품을 행사하는 것이 법 자체로 금지된다.
Can. 1710 - Si Congregatio causam ad tribunal remiserit, serventur, nisi rei natura obstet, canones de iudiciis in genere et de iudicio contentioso ordinario, salvis praescriptis huius tituli.
제 1710 조 심의회(성)가 소송을 법원에 돌려보내면, 사안의 본성상 방해되지 아니하는 한, (교회법전의) 이 장의 규정들을 지키면서, 재판법 총칙과 보통 민사 재판의 교회법 조문들이 준수되어야 한다.
Can. 1711 - In his causis defensor vinculi iisdem gaudet iuribus iisdemque tenetur officiis, quibus defensor vinculi matrimonialis.
제 1711 조 이 소송에서의 성사 보호관은 혼인 소송에서의 성사 보호관과 동일한 권리를 가지며 동일한 의무를 진다.
Can. 1712 - Post secundam sententiam, quae nullitatem sacrae ordinationis confirmavit, clericus omnia iura statui clericali propria amittit et ab omnibus obligationibus liberatur.
제 1712 조 서품의 무효를 확정하는 두 번째의 판결 후에는 성직자는 성직자 신분에 고유한 모든 권리를 상실하며 모든 의무에서 해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