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필립보(5.3)

필립보(5.3)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필립보 (Philip)
축일 5월 3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사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세기
같은이름 비리버, 필리뽀, 필리뿌스, 필리포, 필리포스, 필리푸스, 필립, 필립부스, 필립뽀, 필립뿌스, 필립포, 필립푸스
성인 기본정보

   사도 성 필리푸스(Philippus, 또는 필립보)는 사도 성 베드로(Petrus, 6월 29일)와 성 안드레아(Andreas, 11월 30일)와 같은 고향인 갈릴래아의 벳사이다(Bethsaida) 출신으로 일찍 예수님의 제자로 불림을 받았다. 그는 아마도 성 요한 세례자(Joannes Baptista, 6월 24일)의 제자인 듯하며, 공관 복음서의 사도들 명단에서 다섯 번째로 등장하고 있다(마태 10,3; 마르 3,18; 루카 6,14; 사도 1,13). 그 외에 그의 역할이 비교적 잘 언급된 곳은 요한 복음서이다.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직접 제자로 선택되었고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Bartholomaeus, 8월 24일)와 동일 인물로 추정되는 성 나타나엘(Nathanael)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였다(요한 1,43-51). 그리고 예수님께서 오천 명을 먹이신 기적을 행하시기에 앞서 그를 시험하고자 “저 사람들이 먹을 빵을 우리가 어디에서 살 수 있겠느냐?”라는 질문에 단순히 비용적 측면만 고려해 대답함으로써 아직 예수님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요한 6,5-7).

   그는 또한 과월절 축제를 드리러 온 그리스 사람 몇 명이 예수님을 뵙고 싶다고 했을 때 그들을 예수님과 이어주는 역할을 했다(요한 12,20-23). 이는 성 필립보가 이방인 지역인 데카폴리스(Decapolis)와 가깝고 그리스 문화가 상당히 침투해 있었던 벳사이다 출신으로서 그리스어 이름을 갖고 있었고 아마도 그리스어를 할 줄 알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수난을 앞두시고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 갈 수 없다. 너희가 나를 알게 되었으니 내 아버지도 알게 될 것이다. 이제부터 너희는 그분을 아는 것이고, 또 그분을 이미 뵌 것이다.”(요한 14,6-7)라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을 때, 성 필립보는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 저희에게는 그것으로 충분하겠습니다.”(요한 14,8)라며 예수님의 뜻을 헤아리지 못한 대답을 하기도 했다.

   요한 복음서 안에서 그는 예수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모습으로 나오기도 하고, 사람들을 예수님께 인도하는 선교사다운 면모를 보여주기도 한다. 4~5세기에 기록되었다고 추정되는 “필립보 행전”은 그를 성 스테파노(Stephanus, 12월 26일) 부제와 함께 복음을 전한 ‘일곱 봉사자’ 가운데 같은 이름을 가진 성 필립보 부제(10월 11일)와 같은 인물로 보기도 하지만(사도 6,5; 21,8) 그와는 다른 사람이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사도 성 필립보는 흑해 북서부 스키티아(Skytia) 지방에서 오랫동안 복음을 전하고, 소아시아 중부 프리기아(Phrygia) 지방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87세의 나이로 도미티아누스 황제(81~96년 재위)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히에라폴리스(Hierapolis)에서 십자가에 매달려 돌에 맞아 순교했다고 한다. 나중에 그의 유해는 히에라폴리스에서 로마로 옮겨져 열두 사도 대성전에 모셔졌는데, 사도 성 소 야고보(Jacobus Minor)와 함께 한 제대 아래 모셔지면서 같은 날 축일을 기념하게 되었다. 성 필립보는 포목업자와 모자 제조업자의 수호성인이다.

   옛 “로마 순교록”은 5월 1일 목록에서 사도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의 축일을 기념하였다. 사도 성 필립보가 흑해 북서부 스키티아(Skytia) 지방을 거의 다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개종시킨 후 소아시아의 히에라폴리스(Hierapolis)에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에 맞아 영광스럽게 삶을 마감했고, 주님의 형제라고도 불리는 성 야고보는 예루살렘의 초대 주교였으며 신전 꼭대기에서 던져져 다리가 부러진 후 염색공의 지팡이로 머리를 맞고 숨을 거두어 신전 근처에 묻혔다고 전해주었다. 1955년까지 가톨릭교회는 사도 성 야고보와 성 필립보의 축일을 5월 1일에 기념했었다. 그런데 1955년 교황 비오 12세(Pius XII)가 5월 1일을 노동자 성 요셉(Josephus)의 기념일로 지내도록 선포하면서 두 사도의 축일은 5월 11일로 변경되었다. 그 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1969년에 로마 보편 전례력을 개정한 뒤로는 5월 3일로 옮겨 함께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5월 3일 목록에서 사도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의 축일을 기록하였다. 사도 성 베드로와 성 안드레아와 마찬가지로 벳사이다 출신인 성 필립보는 세례자 성 요한의 제자가 되었다가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그분을 따랐다. 그리고 알패오의 아들 성 야고보는 ‘의로운 사람’(the Just)으로 불리며 라틴 교회 사람들에게 주님의 형제로 여겨졌는데, 예루살렘 교회를 처음으로 다스린 사람으로서 할례에 대한 논쟁이 있었을 때 이교도에서 개종한 제자들에게 옛 관습의 멍에를 지우지 말자는 성 베드로의 제안을 지지했으며 마침내 순교로서 사도직을 마무리했다고 기록하였다. 전통적으로 교회는 혼동을 피하고자 제베대오의 아들이자 사도 성 요한의 형인 야고보는 대(大) 또는 장(長) 야고보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는 소(小) 또는 차(次) 야고보로 부르고 있다.♣

참고자료

  • 고종희 저, 명화로 읽는 성인전(알고 싶고 닮고 싶은 가톨릭성인 63인) - '필립보', 서울(한길사), 2014년, 98-105쪽.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하) -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499-501쪽.
  • 세르지오 바스티아넬 저, 김혜윤 역, 저는 주님을 보았습니다(성경 속 인물들의 하느님 체험 이야기) - 13장 토마와 필립보, 서울(생활성서사), 2006년, 176-186쪽.
  • 신치구 저, 성서와 전설에서 본 열두 사도의 생애 - '필립보',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187-202쪽.
  •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 저, 변우찬 역, 황금 전설 : 성인들의 이야기 - '성 필립보 사도', 서울(일파소), 2023년, 395-396쪽.
  • 정진석 저, 위대한 사명(구세주의 협조자들) - '필립보 사도', 서울(가톨릭출판사), 2019년, 206-216쪽.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2권 - '필립보',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6년, 9208-9210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필립보 사도', 서울(성바오로), 2002년, 111-112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10 [필립보(5.3)] 저는 믿나이다: 필립보 사도와 바르톨로메오 - 소아시아 지역 ... 주호식 2025/05/22 28 0
9 [필립보(5.3)] 금주의 성인: 성 필립보 사도 주호식 2024/05/02 221 0
8 [필립보(5.3)] 금주의 성인: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주호식 2022/05/04 256 0
7 [필립보(5.3)] 명화와 성인: 사도 성 필립보 주호식 2017/05/08 1666 2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