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법 CANON

교회법 자료실

제목 제16차 세계주교시노드 폐막: 시노드 최종문서 해설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24-11-06 조회수44 추천수0

[세계주교시노드 폐막] 시노드 최종문서 해설


모든 하느님 백성 참여한 대화 식별 · 과정의 구체적 성과 담겨

 

 

- 프란치스코 교황과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 대의원들이 10월 26일 로마 바오로 6세 홀에서 열린 마지막 회의에 참가하고 있다. 대의원들은 이날 투표를 걸쳐 작성된 최종문서를 교황에게 전달했고, 교황은 이 최종문서를 승인했다. CNS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가 10월 27일 폐막미사로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투표권을 가진 355명의 시노드 대의원들은 26일 각 항목별로 투표를 통해 최종문서의 내용을 승인하고 교황에게 제출했다. 교황은 이 문서가 교회의 사명을 안내해 줄 ‘매우 구체적인 지침들’을 이미 포함하고 있기에 시노드 후속 권고를 작성하지 않고 즉각 발표하도록 했다. 최종문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다.

 

최종문서는 제1·2회기의 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문서가 2021년 10월 시작된 시노드 여정을 통해 이어진, 전 세계 모든 지역교회의 하느님 백성 전체가 참여한 순환적 대화와 식별의 과정 끝에 거둔 성과라는 점이다.

 

교황은 대의원들이 승인한 최종문서를 그대로 승인했다. 신학자인 리카르도 바토키오 몬시뇰은 26일 교황청에서 열린 시노드 최종문서 관련 기자회견에서 교황이 최종문서를 명시적으로 승인함으로써 교황의 교도권적 문서의 일부가 됐다고 설명했다.

 

 

시노달리타스는 교회의 구성적 차원

 

최종문서는 서문과 결론 외 5개 장, 155개 항목으로 구성됐고 51쪽 분량이다.

 

최종문서는 시노달리타스를 교회의 ‘구성적 차원’으로 제시한다. 즉 시노달리타스는 교회의 본질적 요소다. 따라서 시노달리타스는 교회를 더 ‘참여적이고 선교적’ 방향으로 이끌며, 호기심이나 일시적 추세가 아닌 교회의 근본적인 이해 방식으로 여긴다.

 

선교 지향적이고, 자체가 목적이 아닌 시노달리타스는 교회의 모든 단계에서 상호 경청, 대화, 공동체적 식별을 위한 모임(28항)이다. 뿌리는 예루살렘 공의회와 교회 안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해 온 시노드 회의에 두고 있으며, 이는 대화, 식별, 결정의 과정을 통해 교회 공동체가 함께 걸어가는 여정이다. 이처럼 세계주교시노드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 중 하나는 교회에서 시노달리타스가 차지하고 있는 기본적인 위치에 대한 확인이다.

 

 

참여적 의사 결정

 

문서는 또한 교회 내 모든 의사 결정은 참여적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그리스도교 공동체와 사회의 변두리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 식별 과정에서 가능한 한 폭넓은 참여를 촉진하는 것이 필수적”(82항)이다.

 

이는 성령이 추기경이나 주교, 사제들에게만 아니라 하느님 백성 모두에게 활동하고 계심을 인식하는 것이다. 문서는 제시된 경청과 식별의 절차가 모든 교회 계층에 적용돼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번 시노드가 처음으로 주교들뿐만 아니라 하느님 백성의 다른 구성원들을 포함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향후의 시노드들에도 해당된다(136항).

 

의사 결정 과정과 관련해 평신도들이 “주교 선출에 더 큰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강력한 제안도 담고 있다.(70항) 아울러, 모든 교회 계층에서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요청이 있었다.(95항)

 

 

주교와 사제의 경청 의무

 

문서는 나아가 주교와 사제의 ‘경청할 의무’를 강조한다. 경청과 참여는 문서의 가장 핵심적 요청이다. 주교와 사제들은 교구와 본당에서 신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듣도록 강력히 요청된다. 특정한 경우, 현재 교회법에 따라 의사 결정 전에 자문을 실시할 의무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목적 권한을 가진 이들은 자문에 참여한 이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처럼 행동해서는 안 된다. 권한을 가진 이들은 자문 결과로부터 합당한 이유가 없이는 벗어날 수 없고, 그 이유는 적절히 설명돼야 한다.(91항)

 

또한 교도권에 기초해 의사 결정을 할 주교, 주교회의, 로마 주교의 권위를 언급하면서도, 이러한 권위 행사가 “한계를 지니며, 특히 참여적 기구를 통한 정당한 식별 과정을 무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92항) 본당 수준에서도 교회는 특히 소외된 이들에게 경청해야 하며, 본당들이 “경청과 동행의 사목”을 도입할 것을 권한다. 또한, 시노드적 방식은 “속도의 차이를 정당한 다양성의 표현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하며 모든 지역이 같은 속도로 변화할 필요는 없다고 명시한다.(124항)

 

 

사목평의회 등 참여기구 의무화

 

최종문서에는 사목평의회, 교구 시노드, 그리고 기타 참여적 기구들이 의무화돼야 한다고 명시됐다. 대의원들은 두 차례의 본회의 회기 내내 신자들이 교회 생활에 참여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보장할 방법을 깊이 고민했다. 그리고 교회 생활의 중심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속된 본당이다. 이에 따라 라틴교회와 동방가톨릭교회 모두의 사례를 살피며 다양한 자문기구를 검토했다.

 

라틴교회에서는 교구 시노드, 사제 평의회, 교구 사목 평의회, 재정 평의회 등의 참여적 기구들이 참여, 책임, 투명성의 중심이 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이미 교회법에 규정되어 있지만,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이 기구들이 의무화돼야 하며, 형식적으로가 아니라 그 역할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04항)

 

 

논란의 주제들

 

그 외에 일부 첨예한 논란이 된 문제들은 중심 주제로 다뤄지지는 않았지만 최종문서에 포함됐다. 교회 내 여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었다. 60항은 ‘여성의 동등한 존엄성’을 명확하게 표명하면서 시작된다. 교회 내 모든 수준에서 여성의 참여를 강조하는데 여기에는 “교회 기관의 책임자, 교구청, 로마 교황청”에서의 역할을 포함한다. 특히 여성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교회법에 이미 제공된 모든 기회의 완전한 실현”을 요청한다. 또한, 사제와 부제의 양성 과정에서 “여성의 중요한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148항)

 

반면 여성 부제직 서품은 논란의 대상이었다. 2021년 시노드 개막 당시 기혼 남성 사제 서품, 여성의 부제 서품, 성소수자(LGBTQ) 문제 등에 대한 명확한 판결을 기대한 이들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 주제들은 시노드 연구 그룹의 과제로 넘어가 폐막 이후의 과제로 넘겨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들은 논의의 배경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즉, 교회 내 여성의 역할에 대한 논의는 부제직 서품 문제와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여성 부제 서품에 대한 여러 부정적 언급들에도 불구하고 최종문서는 여전히 문을 열어두었다. 즉, “여성이 교회 내에서 지도자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이유나 장애가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여성의 부제직 접근에 대한 문제는 계속해서 열려 있으며 이 분별은 계속돼야 한다”고 밝혔다.(60항)

 

성소수자(LGBTQ) 문제에 대해서도 제1회기보다 더 개방적인 태도와 자유로운 논의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 주제 역시 별도 연구 그룹에 배정됐기 때문에 집중적 토론은 줄었지만 전반적으로 대의원들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됐다. 문서에서 ‘LGBTQ’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혼인 상황, 정체성 또는 성적 지향으로 인해 배제되거나 판단받는 고통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교회가 경청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50항) [가톨릭신문, 2024년 11월 3일, 박영호 기자]

 

 

[세계주교시노드 폐막] 이번 시노드, 무엇이 달랐나


혼란 속에서 ‘일치’ 찾아온 3년 여정…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 프란치스코 교황이 10월 26일 로마 바오로 6세 홀에서 열린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 마지막 회의 후 대의원들에게 강복하고 있다. CNS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는 이전 시노드들과는 많은 면에서 다르다. 우선 시노드 여정 자체가 길다. 대개 한 달 미만 고위 성직자들의 논의로 진행된 이전의 시노드들과 달리 이번에는 2021년 10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3년여 동안 진행됐다. 여성을 포함해 평신도들이 투표권을 지닌 온전한 대의원 자격으로 참여했다는 점도 획기적이다. 제1회기에는 대의원 365명 중 54명이 여성이었다.

 

 

순환구조의 경청과 식별

 

교구-대륙-보편교회의 3단계 순환구조로 진행된 이번 시노드는 하느님 백성들의 참여 폭이 넓고 깊다. 각 지역교회에서의 대화와 경청 단계에서는 소외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염두에 두고, 최대한 많은 목소리를 듣기 위해 노력했다.

 

교구와 나라별 주교회의 보고서는 교황청 주교대의원회의 사무처로 취합되고 대륙별 단계 시노드 논의에 기초가 됐다. 이러한 시노드 여정의 특징은 순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된 보고서는 다시 지역교회로 내려가고, 그에 대한 응답이 다음 단계 논의에 바탕을 이루었다. 두 차례의 본회의도 같은 구조로 진행됐다. 2023년 10월 제1회기의 종합보고서는 다시 지역교회로 되돌려지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제2회기 의안집이 작성됐다.

 


‘혼란’ 자체가 시노달리타스의 한 측면

 

이전에는 터부시됐던 첨예한 주제들이 ‘담대하게’ 논의됐다는 점도 큰 특징이다.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여성과 평신도의 폭넓은 참여의 보장, 여성 부제 서품의 가능성, 성소수자에 대한 교회의 입장, 사제 성추행과 성직주의 등 뜨거운 주제들에 대한 교회의 다양한 의견들이 거침없이 논의됐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권고이기도 했다. 하지만 담대한 논의가 보장되고 권장됐던 만큼 저항과 거부도 적지 않았다. 일부 추기경 등 고위 성직자들의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프란치스코 교황과 시노드에 대한 공격은 교회가 분열된다는 우려까지 자아냈다.

 

 

시노드에 대한 회의와 기대

 

시노달리타스에 대한 시노드의 당위성은 교회가 직면한 도전들의 긴박성에 기인한다. 이미 탈종교화 현상 속에서 성당들이 비어가는 가운데, 서구교회를 중심으로 터져나온 아동 성추행과 교회의 조직적인 은폐, 교황청 재정 비리 등은 교회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정신을 바탕으로 교회의 새 면모를 일깨우며 쇄신 작업을 이어갔다. 시노드는 그러한 시도의 정점, 또는 본격적인 시작이다. 하지만 기대와 회의가 엇갈렸다. ‘시노달리타스’라는 용어 자체가 낯설었고, 과거의 부정적인 경험들에 따른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았다.

 

시노드 여정이 이어지면서 회의와 의혹은 긍정과 기대로 서서히 변화되기 시작했다. 이른바 ‘성령 안에서의 대화’와 공동 식별의 체험이 거듭되면서 교회와 신앙생활에 대해 자유롭고 담대하게 말할 수 있는, 시노달리타스에 바탕을 둔 교회의 모습을 그려가기 시작했다.

 

 

저항과 급진적인 요구들

 

교황은 몇 가지 조치들을 실시했다. 기간을 3년으로 연장했고, 3단계 대화 구조를 적용했다. 남녀 성별을 배려했고 평신도들을 투표권을 지닌 대의원으로 임명했다. 본회의에서는 성직자와 평신도가 그룹을 지어 원탁에서 만났다.

 

하지만 교황은 제2회기 기간 동안 회의 자체는 비공개로 진행하도록 했다. 기자회견과 개인적 인터뷰를 통해서만 회의 내용을 엿볼 수 있었다. 제2회기 의안집에서는 여성 부제와 성 소수자 문제 등을 제외했다. 논란의 대상이 되는 주제들을 위해 별도의 연구 그룹들을 설치했다.

 

현상 유지적 보수주의자들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존재 자체, 평신도들의 참여 폭이 크게 확대된 시노드 자체에 대해 노골적으로 저항했다. 반면 개혁을 주장하는 쪽은 급격한 변화를 요구했다. 시노드에서 두 입장이 격렬하게 부딪힌 주제들은 기혼 남성 사제 서품, 여성 부제 서품, 성소수자에 대한 교회의 입장 등이다.

 

교황은 이런 주제들을 둘러싼 격렬한 찬반이 시노드 회의장을 뒤덮지 않고, 좀 더 큰 주제인 시노달리타스 정신에 바탕을 둔 교회의 미래를 논의하기를 원했다. 그리고 폐막과 함께 교황의 승인을 받아 발표된 최종문서 안에서 그러한 교황의 뜻은 효과적으로 실현됐다.

 

3년간의 시노드는 막을 내렸다. 하지만 정작 그 시작은 이제부터다. 그리고 이 흐름은 결코 되돌릴 수 없다. 체코의 저명한 신학자이자 영성가인 토마시 할리크 몬시뇰은 5월 24일 가톨릭 독립언론 NCR(National Catholic Reporter)과의 인터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진보적 신학자가 아니라 현명한 사목자”라며 이번 시노드를 시작한 교황의 용기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특히 이미 우리가 ‘바꿀 수 없는 변화’의 흐름에 들어섰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 프란치스코 교황이 10월 27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봉헌된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 폐막미사 후 제단 앞에 놓인 베드로좌 앞에서 기도하고 있다. CNS

 

 

세계주교시노드 어떻게 진행됐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1년 10월 9~10일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의 개막식을 교황청에서 거행했다. 이어 10월 17일 주일에는 전 세계 각 지역교회에서 시노드 여정을 위한 개막식을 열었다. 이로써 가톨릭교회는 ‘시노드 정신을 살아가는 교회를 위하여: 친교, 참여, 사명’을 주제로 한 3년간의 시노드 여정에 들어갔다.

 

2021년 10월부터 2022년 8월 사이에 각 지역교회는 교구장의 지도 아래 하느님 백성의 자문을 특징으로 하는 시노드 여정의 교구 단계가 진행됐다. 각 교구별 다양한 방법과 형식으로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해 귀를 기울이며 하느님 백성 전체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 단계의 논의는 교구별 종합 보고서 작성으로 이어졌고 이는 주교회의에 제출돼 국가 보고서로 종합됐다.

 

국가별 종합 의견서는 2022년 8월까지 주교대의원회의 사무처에 취합됐다. 21개 교황청 부서에서 15개, 15개의 동방 가톨릭교회에서 15개, 114개의 주교회의에서 112개의 답변, 세계 여자 수도회 장상 연합회(UISG)와 세계 남자 수도회 장상 연합회(USG)에서 1개의 답변 그리고 이에 더하여 개인과 단체로부터 1000여 개의 자유 의견이 모였다.

 

한편 2022년 10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시노달리타스에 대한 더욱 폭넓은 성찰을 위해 시노드를 2023년과 2024년 두 회기에 걸쳐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교구 및 국가 교회 단계에 이어 대륙별 단계가 2023년 2~3월 다양한 형태로 진행됐다. 총 7개 대륙별 회의가 2월초부터 3월말까지 진행됐고, 대륙별 회의 최종문서는 3월말까지 주교대의원회의 사무처로 제출됐다.

 

2023년 4월 총회 참석해 투표권을 행사하는 대의원들의 구성에 변화가 생겼다. 첫째, 선출직 대의원 중 축성 생활회 소속 성직자 10명은 각각 세계 남자 수도회 연합회와 세계 여자 수도회 연합회에서 선출된 5명의 남자 수도자와 5명의 여자 수도자로 대체됐다. 둘째, 교황 지명직 대의원에는 주교 직무를 받지 않은 70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신부, 부제, 그리고 남녀 축성 생활자들을 비롯한 평신도 신자들 가운데서 선발됐다. 이 70명의 대의원은 대륙별 기구들이 준비한 140명의 명단에서 선정했다.

 

이처럼 광범위한 하느님 백성의 경청과 식별 단계에서의 논의를 거쳐 작성된 시노드 총회 의안집(Instrumentum Laboris)이 2023년 6월 20일 발표됐고, 10월 4~29일 본회의 제1회기가 열렸다. 역사상 처음 여성을 포함한 평신도와 수도자들이 투표권을 갖고 참여한 제1회기는 10월 28일 80개가 넘는 제안을 담은 ‘종합보고서’를 채택했다.

 

제1회기를 마친 뒤, 전 세계 각 지역교회는 종합보고서의 성찰을 심화한 문서를 2024년 5월 주교대의원회의 사무처에 제출했다. 이어 10월 2~27일 가톨릭교회는 3년간의 시노드 여정을 마무리하는 본회의 제2회기를 열고 최종문서를 승인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후속 사도적 권고 없이 이 문서를 시노달리타스 교회 구현을 안내하는 교도권적 문서로 승인하고 발표했다. [가톨릭신문, 2024년 11월 3일, 박영호 기자]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